등록 : 2018.05.01 16:54
수정 : 2018.05.01 19:55
|
1일 오후 국군장병들이 '판문점 선언' 후속조치 첫 단계로 경기도 파주시 군사분계선(MDL) 교하소초에 설치된 대북 고정형 확성기 철거작업을 하고 있다. 파주/사진공동취재단
|
4.27 판문점 선언에 따라 확성기 철거 시작
북한도 이날부터 대남 확성기 철거 작업
|
1일 오후 국군장병들이 '판문점 선언' 후속조치 첫 단계로 경기도 파주시 군사분계선(MDL) 교하소초에 설치된 대북 고정형 확성기 철거작업을 하고 있다. 파주/사진공동취재단
|
군 당국이 1일 오후 서부전선 9사단 교하 중대에 설치된 대북 확성기를 철거했다. 군 당국은 이날 이곳 시설의 철거를 시작으로, 차례로 군사분계선 일대에 설치된 대북 확성기 철거 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북한군도 이날 대남 확성기 철거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
1일 고정형 대북 확성기 철거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경기도 파주시 민간인 통제구역내 육군 최전방 소초주변에 각종 봄꽃들이 피어있다. 초소 너머 북한 지역이 보인다.
|
군 당국자는 “우리 군이 군사분계선 일대 전방지역에서 운용하는 대북 심리전용 확성기 시설은 고정식 30여대, 이동식 10여대 등 모두 40여대에 달한다”며 “앞으로 이들 시설을 지형과 기상 상황에 따라 차례로 철거하게 된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모두 철거하는 데 대략 1~2주 남짓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서 군 당국은 지난달 23일 이들 확성기 방송을 중단했다. 이번 확성기 방송 중단 및 시설 철거는 남북 정상의 4·27 판문점 선언에 따른 것이다.
북한군도 군사분계선 북쪽 지역에 설치된 대남 확성기 시설 철거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군 당국자는 “오늘 오전부터 북한 지역을 주시한 결과 북한군도 전방 확성기를 철거하는 동향이 파악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날 전군 첫 확성기 철거 작업은 경기 파주 오두산 통일전망대 인근 전방부대에서 이뤄졌다.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물줄기를 굽어보는 산등성이에서 강 건너 1.5㎞ 떨어진 관산반도 쪽을 향해 설치된 확성기는 이날 오후 1군단 대북 심리전 요원들에 의해 1시간도 채 안걸려 분해된 뒤 부대 밖으로 옮겨졌다. 이 확성기 시설은 높이 2.42m, 넓이 1.52m 규모인 신형 장비로, 낱개의 확성기 16기(가로 4기×세로 4기)로 구성돼 있다. 부대 관계자는 “그동안 이 확성기로 오전 4~5시간, 오후 4~5시간씩 대북 심리전 방송을 해왔으며, 우리가 방송할 때마다 북쪽에서도 대응 방송을 해오곤 했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2016년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의 보복 조치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전면 재개했고, 북한군도 이에 맞서 대응 방송을 시작했다.
파주/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