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5.16 08:09
수정 : 2018.05.16 08:48
|
판문점 평화의집 전경. 한겨레 자료사진
|
2001년 3월13일 아침 5차장관급회담 ‘불참’ 통보
갓 출범한 부시 미 행정부의 대북 강경 정책이 원인
6개월 공전 뒤 그해 9월 5차 장관급회담 서울서 열려
|
판문점 평화의집 전경. 한겨레 자료사진
|
북한이 16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기로 한 남북 고위급회담을 한-미 연합군사훈련 등을 이유로 ‘중지’(연기)한다고 오전 0시30분 전화통지문을 통해 남쪽에 통보해왔다. 하지만 남북관계사에서 북한이 회담 개최 예정일에 회담 취소 통보를 해온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앞서 2000년 6월 첫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관계 발전을 견인하는 총괄 회담 창구였던 남북장관급회담과 관련해 5차 회담 개최 당일인 2001년 3월13일 아침 회담 불참을 통보해온 전례가 있다. 당시 북쪽은 2월27일 남쪽의 회담 개최 제안을 3월7일 동의했으나, 회담 당일 아침 태도를 바꿨다. 5차 장관급회담은 6개월의 공백을 거쳐 그해 9월 중순 서울에서 열렸다. 당시 북쪽의 회담 불참 배경엔 갓 출범한 조지 부시 미국 행정부의 강경한 대북 태도, 특히 북-미 제네바 기본합의 파기 움직임이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많았다.
당시 남북은 정상회담 직후 한 달에 두차례나 장관급 회담(2차 2000년 8월29~9월1일, 3차 2000년 9월27~30일)을 열 정도로 관계 개선에 가속 페달을 밟았으나, 2001년 1월 부시 미국 행정부 등장 북-미 관계 악화로 큰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