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5.16 11:55 수정 : 2018.05.16 17:16

북핵 6자회담의 북측 수석대표였던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 <한겨레> 자료사진

김계관 외무성 1부상 명의로 ‘담화’ 발표
볼튼의 ‘선 핵포기 후 보상’ 해법 맹비난
“미국이 진정한 대화·협상 바라는지 의심”

북핵 6자회담의 북측 수석대표였던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 <한겨레> 자료사진
북한은 16일 미국이 북한에 일방적인 핵포기만을 강요하는 대화에는 흥미가 없다며, 북-미 정상회담(6월12일 싱가포르)에 응할지 다시 생각하겠다고 밝혔다.

북한은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 명의로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를 구석으로 몰고가 일방적인 핵포기만을 강요하려든다면 그러한 대화에 더는 흥미를 가지지 않을 것이며 다가오는 조미수뇌회담에 응하겠는가를 재고려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북쪽은 “트럼프 행정부가 조미관계 개선을 위한 진정성을 가지고 조미수뇌회담에 나오는 경우 우리의 응당한 호응을 받게 될 것”이라고 여지를 뒀다.

북한은 담화에서 “볼튼을 비롯한 백악관과 국무성의 고위관리들은 ‘선 핵포기 후 보상’ 방식을 내돌리면서 그 무슨 리비아핵포기방식이니,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니, ‘핵 미사일 생화확무기의 완전폐기’니 하는 주장들을 꺼리낌없이 쏟아내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이것은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 아니라 본질에 있어서 대국들에게 나라를 통채로 내맡기고 붕괴된 리비아나 이라크의 운명을 존엄높은 우리 국가에 강요하려는 심히 불순한 기도의 발현”이라고 짚었다.

특히 김 부상은 담화에서 “나는 미국의 이러한 처사에 격분을 금할 수 없으며 과연 미국이 진정으로 건전한 대화와 협상을 통하여 조미관계 개선을 바라고 있는가에 대하여 의심하게 된다”고 짚었다. 이어 “우리는 이미 조선반도비핵화 용의를 표명하였고 이를 위하여서는 미국의 대조선 적대시 정책과 핵위협 공갈을 끝장내는 것이 그 선결조건으로 된다는 데 대하여 수차에 걸쳐 천명하였다”고 강조했다.

북쪽의 남북고위급회담 일방 연기 조처에 이은 김계관 부상의 ‘북미 정상회담 재고’ 담화는,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물밑에서 진행되어온 북-미 협상에 ‘빨간불’이 켜졌음을 방증하는 위험신호로 풀이된다. 아울러 북-미 간 ‘비핵화’와 ‘대북 적대정책 철회와 위협 해소’ 주장이 팽팽히 맞서며 막판 줄다리기가 결정적인 국면에 이르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