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6.05 10:58 수정 : 2018.06.05 12:00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이 4일(현지시각) 정례 브리핑에서 “12일 북-미 정상회담이 싱가포르 시각으로 오전 9시(한국시각 오전 10시)에 열린다”고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 9월 러시아 동방경제포럼 김정은과 동참 여부 미정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이 4일(현지시각) 정례 브리핑에서 “12일 북-미 정상회담이 싱가포르 시각으로 오전 9시(한국시각 오전 10시)에 열린다”고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청와대가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6·12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종전선언이나 북-미 불가침 확약 등에 관해 “종전선언 등 추가 의제는 북-미 정상회담의 상황을 지켜보며 남·북·미 및 국제사회와 협의해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5일 ‘남·북·미 3자의 종전선언에 북-미 간 상호불가침 약속이 포함될 수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우리 정부는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희망한다”며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이 선결 조건이라는 뜻을 내비쳤다. 앞서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27일 기자들을 만나 “남·북·미 3국간 종전선언을 하는 문제나 북-미 간 상호불가침 약속을 하는 방안에 대해 실무 차원에서의 검토가 필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남북 간 실무 차원의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 고위 관계자 역시 “3자 정상회담을 언제 어떻게 개최하느냐 등에 대해 아직 합의된 것이 없다. 실무 차원의 가능성 검토만 진행되는 것”이라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에 초청하면서 남북 정상이 만날 가능성이 있느냐는 물음에 “(문재인 대통령의) 동방경제포럼 참석 여부는 미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올가을에 평양에서 남북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어 문 대통령의 참석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