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7.03 20:54
수정 : 2018.07.03 23:25
|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후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출범식에서 추진위원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
임시정부 기념사업 추진위 출범
|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후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출범식에서 추진위원들과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
문재인 대통령은 3일 “4월27일 저와 김정은 위원장은 3·1운동 100주년 남북 공동 기념사업 추진을 논의했고, 판문점 선언에 그 취지를 담았다”며 “남과 북이 독립운동의 역사를 함께 공유하게 된다면 서로의 마음도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남북 정상은 판문점선언에서 올가을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에 합의한 바 있어 남북관계가 순조롭게 풀릴 경우 내년 3·1절 100주년 기념행사는 남북이 공동으로 치를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
▶관련 기사 보기 : 남북 독립운동 역사 공유…‘한반도 새로운 미래’ 개척 의지 )
문 대통령은 서울 중구 문화역서울284(옛 서울역사)에서 열린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출범식 격려사에서 이렇게 밝히며 “위원회에서 남북이 공동으로 할 수 있는 사업까지 구상해달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이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3·1절 공동사업’을 논의했다고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판문점 선언에는 “6·15를 비롯하여 남과 북에 다 같이 의의가 있는 날들을 계기로 당국과 국회, 정당,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 등 각계각층이 참가하는 민족공동행사를 적극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남북이 분단으로 갈라지기 이전의 역사를 밑돌 삼아, 민족 동질성을 회복하고 한반도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자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이어 “3·1운동은 민족의 자주독립과 평화, 민주와 인권의 가치를 외친 선언이자 실천이었고, 여기서 분출된 민족의 역량은 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또 “지난 촛불혁명은 3·1운동의 정신을 이은 명예로운 시민혁명”이라며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일이 정의롭고 공정한 나라의 토대가 돼야 할 것”이라고 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