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8.22 16:15 수정 : 2018.08.22 16:46

제21차 남북 이산가족 1차 상봉 행사 마지막날인 22일 금강산호텔에서 이산가족들이 작별인사를 하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22일 작별상봉을 마지막으로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1회차 상봉단 귀환

제21차 남북 이산가족 1차 상봉 행사 마지막날인 22일 금강산호텔에서 이산가족들이 작별인사를 하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22일 강원도 고성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작별상봉을 마친 한신자(88) 할머니가 버스에 올라타 북쪽에서 온 딸 김경영(71) 할머니에게 손을 흔들며 작별인사하고 있다.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1회차 마지막날인 22일 오후 고성 금강산호텔에서 작별상봉이 열렸습니다.

헤어짐을 뜻하는 ‘작별’과 서로 만난다는 ‘상봉’- 두 단어의 조합이 퍽 부조리합니다.

절절히 기다려 만난 가족과 다시 헤어져야 하니 천륜을 거스르는 이 상황도 부조리하긴 마찬가지.

남쪽의 김병오(88)할아버지가 북의 동생 김순옥(81)할머니의 뺨을 어루만집니다. 다시 헤어짐을 아파하며 아이처럼 눈물을 흘립니다.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1회차 마지막날인 22일 오후 고성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작별상봉에서 김병오(88)할아버지와 북에서 온 동생 김순옥(81)할머니가 헤어짐을 아쉬워하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제21차 남북 이산가족 제1차 상봉 행사 마지막날인 22일 금강산호텔에서 남쪽 김춘식(87) 할아버지가 북쪽 동생 김춘실(77) 할머니와 대화하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제21차 남북 이산가족 제1차 상봉 행사 마지막날인 22일 금강산호텔에서 남쪽 조혜도(86) 할머니가 북쪽 언니 조순도(89) 할머니와 대화하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이윽고 작별의 시간, 버스에 오른 가족의 얼굴을 조금이라도 더 마음에 담기 위한 간절함에 차창에 어립니다.

통일부는 지난 21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현안보고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생존자 56000여 명 중 70대 이상이 전체의 85%를 차지할 정도로 고령화가 심각하다며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상봉 정례화 등을 북과 본격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병오 할아버지와 김순옥 할머니도, 아직 많나지 못한 수많은 이산가족들에게도 가족을 만날 기회가 더 많이 열리기를 고대해봅니다. 정리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22일 강원도 고성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작별상봉을 마친 후 버스에 탑승한 남쪽 가족이 북쪽 가족의 배웅을 받으며 오열하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22일 강원도 고성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작별상봉을 마친 뒤 남쪽 가족들이 버스에 탑승하자, 북쪽 가족들이 마지막으로 손을 흔들며 눈물로 배웅하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22일 강원도 고성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제21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작별상봉을 마친 뒤 남쪽 가족들이 버스에 탑승하자, 북쪽 가족들이 마지막으로 손을 흔들며 눈물로 배웅하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제21차 남북 이산가족 1차 상봉 행사 마지막날인 22일 금강산호텔에서 북쪽 아들 리상철(72)씨가 남쪽 어머니 이금섬(92)씨와 작별인사를 하며 눈물을 삼키고 있다. 금강산/사진공동취재단

본디 행낭이란 무엇을 넣어서 보내는 큰 주머니를 뜻합니다.

외교행낭은 외교사절단과 본국 정부간에 긴밀히 외교 서류 등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오고가는 수송편을 일컫지요.

이번 금강산에서 이뤄지는 남북이산가족 상봉 취재도 이 행낭의 도움을 받아 마감하고 있습니다.

사진 취재의 경우 통신을 이용한 마감이 여의치 않은 탓입니다.

그 행낭에 담겨, 북에서 남으로 달려온 이산가족들의 가슴 뭉클한 사진들을 모아 전합니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