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9.25 07:20 수정 : 2018.09.25 10:23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뉴욕 롯데 뉴욕팰리스 호텔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정문에 서명하고 있다. 뉴욕/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뉴욕 롯데 뉴욕팰리스 호텔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정문에 서명하고 있다. 뉴욕/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연 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정을 환영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앞서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가 한미 자유무역협정 개정협정에 서명했다.

이번 개정협정은 미국이 2021년 1월1일 철폐할 예정이었던 화물자동차(픽업트럭) 관세를 20년 더 유지하기로 하고,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제도(ISDS)의 중복제소를 방지하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채택한 공동성명에서 “양국의 긴밀한 동맹과 양 국민 간 굳건하고 상호 호혜적인 무역 및 경제관계 유지의 중요성을 재확인한다”며 “우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을 개선하기 위해 개정과 수정을 이뤄 낸 양국 정부 간의 성공적인 협상 타결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이어 “조속히 갱신된 협정을 발효시키기 위해 각자 필요한 추가 조치를 진행하도록 당국자에게 지시할 것을 다짐한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뉴욕 롯데 뉴욕팰리스 호텔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정문에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뉴욕/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문 대통령은 서명에 앞서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한미동맹을 경제 영역으로 확장하는 의미가 있다”며 “개정 협상이 신속하게 마무리돼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불확실성이 제거되고 양국 기업이 보다 안정적 여건에서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개정협정을 “역사적 이정표”라고 평가하며 “우리는 한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와도 공정하고 상호호혜적인 협정 협상을 계속할 것”이라고 했다. 또 “오늘 서명하게 되는 새로운 한미 무역협정은 미국의 투자 적자를 줄이고 미국 상품이 한국에 수출하게 되는 많은 기회를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욕/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화보] 문 대통령 평양 뒤 미국 순방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