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국자는 "내가 알고 있는 한 아직까지 개성공단이나 금강산관광에 대한 한미 간 본격적 협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같다"면서 "발언의 진의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정부 당국자는 "유엔 안보리 결의 1718호 채택에 따른 추가조치에 대한 한미 간 협의가 예정된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껄끄러워하는 두 사업에 대해 미리 운을 띄운 것같다"고 해석했다. 하지만 그가 금강산관광에 대해 이례적으로 직설적인 의견을 피력한 점에 비춰보면 이미 한미 정부간 어느 정도 의견 접근이 이뤄진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한편에서는 미국이 여전히 계속하고 있는 방코델타아시아(BDA)의 북한 계좌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금강산관광이 관련됐다는 단서를 포착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그렇지 않고서야 금강산관광에 대해 '북한 정부 관계자들에게 돈을 주기 위해 마련해준 것같다'는 비교적 구체적인 언급까지 나왔겠느냐는 얘기다. 정부 일각에서는 '한국의 금강산관광을 문제삼는다면 중국의 묘향산관광도 문제삼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불만도 나오고 있다. 한편에서는 그동안 정부가 인권과 임금 직불 문제 등 국제사회의 잦은 문제제기를 받아 온 개성공단에 대해서만 신경쓰다 금강산관광을 방어하는 논리 개발에 미흡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는 힐 차관보가 "개성공단의 아이디어를 내가 더 잘 이해하는 것이 사실"이라며 인적 자본에 대한 투자이며 국제적 표준에 견줄 법하다는 등의 긍정적 견해를 밝힌 뒤 "다른 프로젝트(금강산관광)에 대해서는 그만큼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고 말한 데서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정부가 미국을 설득, 금강산관광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민간차원의 일반적 상거래'라는 논리 이상의 근거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정진 기자 transil@yna.co.kr (서울=연합뉴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