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0.11.04 08:58
수정 : 2010.11.04 08:58
문화재청, 함안보 인근 일부 시험발굴조사
5만㎡ 유물확인 불구 비용·시간 이유 방치
정부가 4대강 사업으로 건설중인 낙동강 함안보 인근 농경지 곳곳에서 청동기·신라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석기·토기 조각 등이 발견됐는데도, 유물의 정확한 분포 범위와 성격도 파악하지 않은 채 대부분 지역을 준설토로 뒤덮는 농경지 성토(리모델링) 공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일 한국수자원공사 등의 말을 종합하면, 경남 함안군 칠북면 4대강 사업 낙동강 18공구의 농경지 성토 구간인 덕남지구 73만7000㎡에 대해 문화재청은 지난 4월 유물 분포 확인조사를 하기로 했다. 하지만 정작 구덩이를 파서 땅속을 살피는 시굴조사는 5월3일~6월11일 덕남지구 서남쪽 5만㎡와 서북쪽 7만㎡ 등 12만㎡(덕남지구 면적의 16.3%)에서만 했다.
시굴조사 결과 지하 6~6.5m 지점에서 나무·풀 같은 자연유물, 석기·무문토기 조각 등이 보존된 상태로 발견돼 기대를 모았는데도, 문화재청은 서남쪽 5만㎡가 뻘층이어서 발굴 때 침출수 유출로 조사가 어렵고 뻘층 제거에 시간과 비용이 꽤 든다는 이유를 들어 추가 정밀조사 대상에서 뺐다.
결국 구덩이를 더 깊게 파는 정밀 시굴조사는 8월23일~10월25일 서북쪽 7만㎡에만 이뤄졌고, 이 사이 농경지 성토 시행기관인 한국농어촌공사는 서남쪽 5만㎡를 비롯한 나머지 66만7000㎡에서 준설토를 평균 3.1m 두께로 뒤덮는 성토 작업을 강행해, 현재 공정률이 80%에 이른 상태다.
이상길 경남대 교수(역사학)는 “수천년 전의 유물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도 규모·성격 등을 전혀 파악하지 않은 채 준설토를 덮어버리는 것은 문화재를 방치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와 야4당 경남도당은 이날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덕남지구 농경지 리모델링 사업 중단 △전체 면적에 대한 문화재 정밀조사 시행을 촉구했다.
서북쪽 7만㎡에서 정밀 시굴조사를 벌여온 해동문화재연구원은 지난 2일 청동기시대 주거지와 지석묘 관련 유적 등이 발견된 5300㎡의 발굴조사가 필요하다는 보고서를 냈고, 문화재청은 이달 중순께부터 60일간 문화재 발굴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결국 발굴조사 예정 면적은 덕남지구 전체의 0.7%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낙동강 18공구 사업 시행기관인 한국수자원공사는 “문화재청 결정에 따라, 정밀 시굴조사 지역 밖에만 준설토를 반입했다”며 “문화재가 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해서 모든 지역을 발굴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창원/최상원 기자
csw@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