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1.07 19:37 수정 : 2010.11.08 08:24

얼마 전까지 배추와 당근 등이 자라던 4대강 사업 낙동강 3공구 부산 사상구 삼락둔치 친환경 영농단지가 사라지고 있다. 모래와 뻘의 흙탕물을 걸러내 임시로 보관하는 침사지와 적치장이 그 자리를 차지했다.

낙동강 농토 파헤쳐 둑 쌓고 준설토 적치장·침사지 조성
“일자리 빼앗겨 생계 곤란” 농민 절반 ‘삶의 터전’ 떠나

부산 삼락둔치 친환경 영농단지

“마지막 가을걷이라고 생각하니 가슴이 먹먹하네요.”

지난 4일 4대강 사업 낙동강 하류 3공구의 부산 사상구 삼락둔치 친환경 영농단지에서 만난 농민 정성철(43)씨는 “막개발을 막으려고 억세게 싸웠는데 끝내 삽질에 농토가 파헤쳐지는 꼴을 보게 돼 참담하다”며 고개를 떨어뜨렸다.

2006년에 부산시의 친환경 영농단지로 조성된 삼락둔치 농경지가 경기도 팔당의 유기농단지처럼 마구 훼손되고 있다. 얼마 전까지 배추와 당근 등 농작물이 자라고 있던 일부 농경지는 이미 사라졌고, 대신 높이 2m가량의 커다란 둑들이 여러 개 들어서 있었다. 3공구 강바닥에서 퍼올린 모래와 뻘의 흙탕물을 걸러낸 뒤 임시로 보관하는 침사지와 적치장으로 사용하려는 것이다.

3공구 공사는 지난달 16일부터 재개됐다. 올 4월 3공구의 강바닥에서 퍼올린 뻘의 탁도가 높아 공사가 중단된 지 6개월여 만이다. 시공사는 먼저 삼락둔치 농경지 82만㎡ 가운데 준설토 임시적치장과 침사지로 쓸 15만㎡부터 삽질에 들어갔다.

탁도가 높은 뻘의 처리방안에 대한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일부 구간의 강바닥을 걷어내는 준설도 강행에 들어갔다.

농민들은 삼락둔치를 지키기 위해 7월부터 농성과 진입로 봉쇄 등으로 대항했지만 힘이 달렸다. 이곳에서 농사짓던 191명 가운데 절반가량이 시공사의 압력과 회유에 못 이겨 보상금을 받고 떠나갔다.

겨울 철새들의 둥지로 자리잡은 낙동강 가장자리 갈대숲에서는 더는 예전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었다. 시공사가 강 너비를 500m로 넓힌다며 마구 깎아냈기 때문이다.


공사가 속도를 내면서 낙동강 하류 구간의 공정률도 껑충 뛰었다. 지난달 16일 이전까지만 해도 1~2%에 그쳤던 3공구는 20여일 만에 8%를 넘었다. 1·2·4공구는 9.4~24%까지 올랐다.

강 옆 둔치 밑에 58만㎥의 대규모 폐기물이 매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남 김해시 상동면 낙동강 7~10공구는 문화재 시굴조사가 끝나지 않아 둔치를 깎아내는 작업은 잠시 중단된 상태였다. 하지만 강에서는 준설작업이 강행되고 있었다.

정순옥(50) 상동면 매리 대책위원장은 “100여가구 가운데 보상금을 받아도 생계를 이어가기 어려운 20~30여가구는 보상을 거부하고 있다”며 “4대강 사업이 되레 일자리를 빼앗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준경 생명그물 정책실장은 “4년 전 많은 예산을 들여 조성한 친환경 영농단지와 희귀·수변식물이 서식하는 갈대숲을 훼손하면서 친환경 생태공원을 다시 만든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부산/글·사진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