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2.01 08:50 수정 : 2010.12.01 08:52

시민단체 ‘공동재조사’ 주장

부산 시민들의 식수 취수원인 매리취수장에 인접한 경남 김해시 상동면 4대강 사업 낙동강 8~9공구와 김해시 한림면 낙동강 15공구에서 발견된 수십만㎥의 불법 매립 폐기물에 대한 정부 조사 결과를 놓고, 경남도 낙동강사업 특별위원회와 부산·경남지역 환경단체들이 “신뢰할 수 없다”며 공동 재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

경남도 낙동강 특위는 30일 보도자료를 내어 “지난 10월28일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의 1차 조사 결과 발표 때 58만㎥였던 폐기물 양이 지난 11월26일 최종 결과 발표에선 47만㎥로 줄어든 이유를 납득할 수 없다”며 “정부는 이제라도 경남도와 공동으로 정밀 조사를 벌여야 한다”고 밝혔다.

‘낙동강 지키기 부산시민운동본부’는 이날 부산국토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산 시민의 생명과 건강이 걸린 문제인데도 정부가 폐기물의 실체를 축소·은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낙동강 지키기 경남본부는 성명을 내어 “정부 조사 결과 7곳에서 중금속이 토양오염 우려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는데도, 정밀 조사 및 정화 계획을 세우지 않는 것은 토양환경보전법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부산국토청은 이날 경남도·부산시·낙동강유역환경청 등에 “이번에 조사를 끝낸 준설 구간 폐기물을 내년 6월까지 처리하고, 준설구간 주변 둔치의 폐기물을 내년 1월 말까지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4대강공사 노동자 또 숨져

한편,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서둘러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남한강 강천보 건설현장에서 야간작업을 하던 노동자 1명이 또 숨졌다. 지난 29일 밤 9시45분께 경기 여주군 4대강 사업 남한강 구간 제6공구(현대건설) 강천보 건설현장에서 거푸집을 떼어내던 노동자 김아무개(48)씨가 머리 위로 떨어진 길이 12m가량의 철제 구조물에 맞아 숨졌다. 지난 9월엔 4대강 사업 여주보 신축 현장에서 유아무개(70)씨가 15t 덤프트럭에 치여 숨졌다.

창원 부산 여주/최상원 김광수 김기성 기자 csw@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