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0.12.14 09:19
수정 : 2010.12.14 09:19
공동회의서 8~9공구 폐기물 처리 방안 논의
김두관지사 “부산시장에 공동보조 제안 검토”
경남 김해시 상동면 4대강 사업 낙동강 8~9공구에서 발견된 수십만t의 불법 매립 폐기물 처리 문제에 대해 부산지역 야당·시민단체들과 경남도가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경남도는 13일 오후 경남발전연구원에서 ‘경남·부산 낙동강 식수 대책 공동회의’를 열어, 낙동강 8~9공구에 묻혀 있는 폐기물 처리 방안을 논의했다. 경남 쪽에서는 김두관 경남도지사 등 경남도 관계자들과 경남지역 야 4당 대표, 낙동강 지키기 경남본부와 민주도정협의회 등 시민단체 대표, 경남도 낙동강 사업 특별위원회 소속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부산 쪽에서는 부산지역 야 4당 대표와 낙동강 지키기 부산시민운동본부 등 시민단체 대표들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낙동강 8~9공구가 행정구역으로는 경남에 속하지만, 이곳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당장 부산 시민의 식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는 만큼 부산과 경남이 공동으로 대응해야 하며, 특히 부산 시민들이 적극 나서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최인호 민주당 부산시당 위원장은 “해당 구역 전역에 대해 정밀조사를 할 것을 경남도에 요청한다”며 “부산이 아니라 서울 시민의 식수가 위협받는 상황이라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지금처럼 모른 척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상화 낙동강 지키기 부산시민운동본부 공동대표도 “이곳에 문제가 생겼을 때 직접 피해는 부산 시민이 입게 되는데도 두 손 놓고 모른 척하는 부산시와 부산지역 정치권은 참으로 무능하다”고 비판했다.
박창근 경남도 낙동강사업 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관동대 교수)은 “예전에 대구 위천공단 사태가 터졌을 때 부산·경남 시민들이 한마음으로 뭉쳐 반대하던 것에 견줘 지금은 너무도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부산 시민들에게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려면 부산에서 대규모 토론회를 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병기 경남도 정무부지사도 “부산 시민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경남의 공무원들이 자신감을 갖고 적극 대응할 수 있다”며 부산 시민들의 관심을 촉구했다.
김두관 지사는 “경남과 부산은 행정구역으로 나눠져 있을 뿐, 하나임에 틀림없다”며 “낙동강 식수 문제에 부산시와 경남도가 공동 대응하자고 허남식 부산시장에게 공식 제안할 것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