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2.31 08:42 수정 : 2010.12.31 12:09

로봇물고기.

MB 지시한 소형화 난망
“내년 투입 불가능” 결론

이명박 대통령이 4대강의 수질오염을 막겠다며 도입 방침을 직접 밝힌 ‘로봇물고기’가 당분간 4대강에 투입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 관계자는 30일 “내년 예산에 로봇물고기 개발비가 반영돼 있지만 개발 작업이 더뎌 당장 내년에는 4대강에 투입할 수 없는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리고, 환경부는 이 사업에서 당분간 손을 떼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식경제부가 개발중인 로봇물고기를 4대강에 투입하려면 환경부가 ‘수질자동측정망 운영계획’을 보완하는 등 관련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로봇물고기는 지난해 11월 전국에 생중계된 이 대통령의 ‘국민과의 대화’에서 처음 추진 사실이 공개됐다. 당시 이 대통령은 즉석에서 동영상 프레젠테이션을 선보이며 “4대강 수질오염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로봇물고기를 풀어놓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경부가 로봇물고기 개발사업에 나섰고,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모델 제작에 들어갔다.

이런 가운데 지난 7월에는 이 대통령이 4대강 사업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로봇물고기의 크기가 1m가 넘는다는 설명을 듣고 “로봇물고기가 너무 커서 다른 물고기들이 놀란다”며 작은 크기로 나눠 ‘편대 유영’을 시키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16개 보 건설이 완공되는 등 4대강 사업의 외양이 갖춰지는 내년 10~11월께 이 로봇물고기를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환경부 관계자는 “작은 크기로 제작하면 수질측정기기, 위성항법장치(GPS), 같은 편대 물고기끼리의 통신장치 등을 다 넣을 수 없다”며 “개발 기간이 몇 년은 더 걸릴 것 같아 환경부는 일단 실무작업에서 빠졌다”고 설명했다. 현재 개발이 가능한 크기인 1m짜리 물고기를 만들어 투입해도, 4대강의 수심이 얕아 돌아다니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로봇물고기를 만드는 ‘생체모방형 수중로봇 개발사업’ 예산은 내년에 20억원이 배정돼 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쥐식빵 제보자 “약간 타격만 주려했는데…”
선동열, 계약 기간 4년이나 남았는데 돌연 퇴진…사실상 해고?
‘4대강 로봇물고기’ 두손 든 환경부
‘사무관 승진에 5천만원’ 풍문 빈말 아니었네
연평주민 도운 ‘찜질방 돕기’ 후끈
‘MB정권과 맞짱’뜨는 천정배 “폭압정권 투쟁은 나의 사명”
‘강남 클럽 흰 티녀’ 메일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