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1.01.07 20:04
수정 : 2011.01.07 20:04
|
4대강 사업 한강 1공구 사업대상지인 경기 양평군 양서면 두물머리에 대한 문화재 시굴조사가 영하 10도를 오르내리는 혹한 속에서 지난 4일 진행되고 있다.
|
양평 두물머리 등 사업지 20여곳서 졸속 조사
“땅 얼어 파기 어렵고 유적훼손 위험 높아” 비판
경기 북부지역에 10일째 한파특보가 내려지고 전국이 혹한과 폭설로 꽁꽁 언 가운데, 4대강 사업 대상지 20여 곳에서 문화재 시굴(시범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어 논란을 빚고 있다.
7일 문화재청과 경기도 팔당농민 등의 말을 들어보면, 서울국토관리청과 문화재청은 문화재 조사전문기관인 겨레문화유산연구원에 의뢰해 지난달 20일부터 4대강 사업 한강 1공구 사업부지인 경기 양평군 두물머리에 대한 문화재 시굴조사를 하고 있다.
김기태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조사연구실장은 “2009년 2~4월 4대강 사업 한강권역 두물머리지구의 문화재 지표조사를 한 결과, 청동기~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이 수습돼 4대강 공사를 앞두고 표본시굴조사를 의뢰받았다”고 말했다. 겨레문화유산연구원은 지난달 낸 ‘발굴조사 계획서’에서, “두물지구는 1972년 팔당댐 수몰지구 유적발굴 조사에서 5기의 지석묘가 발견됐으며, 한국토지공사 박물관과 경기문화재연구원, 성균관대의 조사에서도 청동기~원삼국시대의 주거지를 비롯한 각종 유구와 유물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문화재 전문가들과 야권에서는 “4대강 사업 속도전에 밀려 문화재 조사가 형식적이고 졸속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겨울철 문화재 발굴작업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평우 문화유산정책연구소장은 “발굴조사를 하려면 땅을 5~7m 파야하는데, 겨울에는 땅이 얼어 파기 어렵고 유적·유구의 훼손 위험이 높아 발굴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며 “특히 두물머리처럼 유적이 많이 분포한 지역은 땅이 풀리는 4월 이후에 표본조사가 아니라 전지역 정밀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문순 민주당 의원은 “문화재청은 2009년 실시한 4대강 문화재 지표조사에서 수중조사를 생략한 채 45일 만에 졸속으로 마쳤다”며 “지표조사기관이 ‘발굴조사’ 의견을 낸 한강 15곳, 낙동강 19곳 등 42곳에 대해서도 낮은 단계인 ‘표본시굴조사’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 관계자는 “조사시기는 조사전문기관이 자체 판단해 결정한 것”이라며 “표본시굴조사를 통해 집터 등 유물이 확인되면 전면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남양주/글·사진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