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조사 참관 시민단체 “80% 모래층…증액 불필요”
부산시가 미세점토 처리비용 175억원의 증액을 추진하고 있는 4대강 사업 낙동강 3공구 대저지구의 지반조사에서 모래 성분이 대부분으로 추정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강바닥에 크기와 굵기가 아주 작은 뻘이 섞인 흙이어서 처리가 까다로운 미세점토보다 모래가 훨씬 더 많은 사실이 일부 확인됨에 따라 관련 단체들은 준설비용 절감을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준설을 최종 분석 결과가 나올 때까지 당장 멈출 것을 요구했다. 생명그물·습지와 새들의 친구 등 부산의 환경시민사회단체들로 꾸려진 운하반대 낙동강지키기 부산운동본부는 3일 “부산시가 지난달 29일과 이달 2일 아침 8시~오후 5시에 벌인 3공구 대저지구 6곳의 지반조사를 참관했더니 시료의 80% 이상이 모래층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날 대저지구 6곳을 수심 0~9m까지 조사했는데 수심 1m까지는 6곳 가운데 2곳만 모래와 실트성 토양이 섞여 있었으며, 나머지 4곳은 모래가 주성분이었다는 것이다. 또 수심 2~6m는 대부분 모래였으며, 준설 대상이 아닌 수심 8m 이상에서 점토층이 발견됐다고 부산운동본부는 주장했다. 부산운동본부의 주장은 시의 애초 예상과 크게 다르다. 시는 설계회사인 ㅇ사가 지난해 12월 작성한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대저지구에 48만㎥, 삼락지구에 12만㎥ 등 60만㎥의 점질토가 있다고 판단하고 준설비용 증액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이 설계도면은 지난해 하반기 감사원의 권고로 부산권의 낙동강 관리수위(평균 해수면으로부터 높이)가 0.3m에서 0.76m로 높아져 준설 깊이가 해수면 아래 9.5m에서 7m로 줄어들기 전에 작성한 1차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다. 준설구간과 준설량이 크게 줄어들었는데도 지반조사를 다시 하지 않고 설계회사의 설계도면만 믿고 대저·삼락지구의 점질토 60만㎥의 처리비용 175억원을 부산국토관리청과 4대강사업본부를 거쳐 기획재정부에 신청한 것이다. 시가 한국품질기술연구소에 맡긴 시료 분석 결과가 부산운동본부의 주장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면 공사비의 대폭적인 절감이 이뤄질 수 있다. 하지만 지반조사를 다시 하지 않고 무리하게 공사비 증액을 추진했던 시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준경 부산운동본부 공동집행위원장은 “대저지구의 시료 대부분이 육안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모래층으로 추정되는 만큼 공사비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대저지구와 삼락지구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공사를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부산시 낙동강사업본부 관계자는 “내부 회의를 거쳐 최종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공사를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한편 민주당 부산시당은 이날 ‘낙동강 3공구 공사 비리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이성숙 시의원) 구성을 의결하고 현장 방문조사와 시민단체 연계투쟁을 벌여 나가기로 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