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0일 오후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천 둔치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지난달 27일 폭우로 범람한 물살에 휩쓸려 부서진 채로 흉물스럽게 방치돼 있다. 경기도 광주/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
[현장] 경기 곤지암천 범람 10여일뒤 가보니
재활센터 여전히 마비…하수처리장 가동 불안…자전거도로는 낭떠러지
2006년 수해방지하천 됐지만예산배정 부실 ‘땜질’ 정비뿐
주민 “생활밀접한 하천 방치” 지난달 27일 집중호우로 강물이 범람한 한강 지류 경안천과 곤지암천 합류지점의 삼육재활센터와 곤지암천 주변 곳곳은 2주일째인 10일에도 여전히 깊은 생채기로 얼룩져 있었다. 넘쳐흐른 물살에 장애인 1명이 휩쓸려 숨지고 지하와 1층 진료실 등이 모두 물에 잠겼던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삼육재활센터는 진흙에 뒤범벅됐던 1층 시설만 예전 모습을 되찾았을 뿐, 여전히 제기능을 잃은 상태였다. 500여명의 장애인 환자 가운데 300여명은 아직도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바로 옆 하루 2만5000t의 생활오수를 처리하는 광주하수처리장은 침수지와 여과지가 침수돼 기능이 마비됐다가 지난 8일에야 간신히 재가동에 들어갔지만 어수선한 모습이었다. 이곳에서 8㎞쯤 떨어진 곤지암읍 새터교 인근 1152가구가 사는 ㅋ아파트 단지는 하천이 넘쳐 지하 주차장이 온통 잠겼던 터라 이날까지도 전기 공급이 끊겨 어두컴컴한 주차장에는 차를 세울 수 없었다. 엿새 동안 전기 공급이 끊겨 큰 불편을 겪었던 아파트 주민 오아무개(48·회사원)씨는 “주민 생활과 밀접한 하천을 제대로 관리할 생각은 않고 큰 강만 정비하더니 엄청난 피해를 불러왔다”며 지천 정비를 외면한 당국을 꼬집었다.
|
|
|
한강 지류 경안천·곤지암천 수해 지역
|
그러나 최근 곤지암천 범람 현장을 조사한 환경운동연합은 “곤지암천 수해 사례는 홍수피해가 지류나 지천의 수중보 같은 물의 흐름을 막는 구조물 주변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현장을 둘러본 이상돈 중앙대 교수도 자신의 블로그에서 “곤지암천변에는 변변하게 제방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 지천은 이런 상태로 두고 멀쩡한 본류(4대강)를 파헤치느라고 수십조원을 퍼붓는 것이 얼마나 무모한가”라고 지적했다. 경기도 광주/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