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봇 물고기.
|
감사원 ‘개발사업 총체적 부실’ 결론
헤엄 못 치는 ‘고철덩어리’
작년 산업기술연구회 ‘성공’평가
검증결과 발표자료 자체 ‘엉터리’
유영속도 과장…목표치 10% 불과
9기중 7기 고장나 실험 못하기도
연구개발비 부당집행 등도 지적
연구에 투입된 세금 57억 ‘물거품’
이명박 전 대통령이 4대강 수질 오염의 예방책으로 역설했던 로봇물고기 개발이 ‘실험 결과 조작’, ‘특허·논문 중복’, ‘연구개발비 부당 집행’ 등으로 얼룩진 총체적 부실 사업이었음이 30일 감사원 결과 밝혀졌다. 로봇물고기 개발에는 57억원의 ‘혈세’가 투입됐지만, 결국 하천에서 활용되지 못한 채 헤엄도 제대로 못 치는 ‘고철 덩어리’로 막을 내렸다.
감사원이 이날 국회에 제출한 ‘로봇물고기 등 산업기술분야 연구개발(R&D) 관리실태’ 보고서를 보면,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산업기술연구회는 지난해 8월 생산기술연구원의 로봇물고기 개발에 대해 ‘성공’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이후에도 로봇물고기는 하천에 투입되지 않았다.
국회 요청을 받은 감사원이 평가 결과를 검증한 결과, 생산기술연구원이 지난해 7월 낸 최종보고서나 8월의 결과 발표 자료가 허위였음이 드러났다. 연구원의 최종보고서는 로봇물고기의 유영속도가 1초당 1.8m를 기록했다고 돼 있지만, 8월 결과 발표 자료엔 사업계획상 목표치인 1초당 2.5m를 달성한 것으로 허위 기재했다. 감사원이 올해 3월 실제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 로봇물고기의 초당 헤엄 거리는 목표치의 10분의 1에도 못 미친 23㎝에 불과했다. 수중 통신속도나 통신거리도 애초 목표치나 최종발표에 명시된 수치(속도 4800bps, 거리 500m)의 10분의 1 이하인 200bps, 50m에 그쳤다. 로봇물고기는 감사원 실험 도중, 고장나 실제 테스트도 제대로 진행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연구원이 수중통신 및 수질측정 기능을 탑재해 제작한 로봇물고기는 전체 9기였지만, 지난 3월 감사원 실험 당시 7기가 고장이 나 군집제어나 위치인식 등의 기능은 측정조차 못했다.
|
로봇물고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발표자료와 감사원 테스트 비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