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뉴스
l
생각키우기
l
교실안팎
l
상담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과고, 반드시 알고 가세요
■ 수학·과학 실력·흥미 살펴봐야 과고에선 수학·과학 전문교육이 이루어진다. 과학은 일반·심화과정으로 나눠 배운다. 실험과목과 전공 분야를 탐구하는 과제연구 프로그램도 있다. 특성화대학과 연계한 AP(대학 과목 선이수제) ...
2016-07-12 16:19
대화에 ‘스토리’ 입히자 아이 마음 보여요
김유미씨는 성별이 다른 아들의 마음을 알기가 어렵다. 아이는 밖에서는 살가운데 엄마한테는 무뚝뚝한 편이다. 궁금한 마음에 이것저것 물어봐도 이야기를 안 해서 갈수록 질문을 안 하게 ...
2016-07-12 11:41
7월 12일 함께하는 교육 정보
책 제대로 읽는 법 알려주는 특강 한겨레교육이 초·중 대상으로 독서교실 강좌를 연다. 단순히 독서량을 늘리는 데 그치지 않고 책을 제대로 읽고 다시 읽는 과정을 통해 올바른 독서법을 배울 수 있다. 수강생 스스로 논제를 만...
2016-07-12 11:38
수학·과학만 잘한다고 과고생 되는 건 아니에요
이공계 선호 현상으로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입시에 관심을 기울이는 학생·학부모가 많아졌다. 과학고등학교(이하 과고) 입시는 학생부뿐 아니라 자기소개서, 면접 등 다양한 전형 과...
2016-07-12 10:15
돈 안 되는 걸 왜 전공하냐고 묻는다면…
“그거 전공하면 뭐 해먹고 살래?” 차가운 질문입니다. 대학이 취업을 위한 관문으로 변해버린 요즘, 어학·문학 전공자들에 대한 주위의 시선은 냉담합니다. 어학·문학 등을 전공하면 취업이 ...
2016-07-11 20:56
‘더 많이 시켜야 한다’ 강박 버리자
곧 여름방학이다. 한 아이는 방학하자마자 일주일 내내 학원 등 공부 스케줄이 잡히면서 쉬는 시간이 없어질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공부에 신경을 쓰는 아이라 자신도 그렇게 해야 하...
2016-07-11 20:56
[사설 속으로] 한겨레·중앙일보, ‘북한의 권력 구조 개편’ 사설 비교해보기
<한겨레>와 <중앙일보>가 함께 구성한 지면으로 두 언론사의 사설을 통해 중3~고2 학생 독자들의 사고력 확장에 도움이 되도록 비교분석하였습니다. [한겨레 사설] ‘김정은...
2016-07-11 19:46
[사설 속으로] 한겨레·중앙일보, ‘브렉시트 후폭풍’ 사설 비교해보기
<한겨레>와 <중앙일보>가 함께 구성한 지면으로 두 언론사의 사설을 통해 중3~고2 학생 독자들의 사고력 확장에 도움이 되도록 비교분석하였습니다. [한겨레 사설] 유럽을 ...
2016-07-04 20:37
디지털시대 동시 짓기의 가치
트위터는 140자의 제한된 환경에서 글을 올려 의견을 교환하는 서비스다. 지금은 주가가 크게 떨어지고 인기도 시들해졌지만 간편한 글의 유통이라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큰 방향을 제...
2016-07-04 20:29
2살 아이가 스마트폰 잠금 풀고 노는데 영재일까요?
Q 2살 아이가 스마트폰 패턴을 풀고 잘 가지고 놉니다. 어른들도 알지 못하는 기능들을 잘 사용합니다. 디지털 영재일까요? 자녀가 두각을 나타내기 원하는 부모가 많습니다. 학교 안팎...
2016-07-04 20:28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