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뉴스
l
생각키우기
l
교실안팎
l
상담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학생부종합, 논술…‘재수생 장점’ 살릴 수 있어
재수생들은 수시전형을 가볍게 보는 경향이 있다. 시간을 뺏긴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지레 ‘오직 정시’를 생각하고 수시 응시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대학들이 수시 지원 자격을 재수생에게까지 열어 둔다. 정시만 고...
2016-01-25 20:15
과목·범위 달라지는 올 수능, 재수생에게 큰 부담?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016학년도 수능과 범위가 다르다. 2007년과 2009년 개정교육과정 간 차이 때문이다. 수능 전 ‘재수하면 위험’하다는 언론 보도가 많았다. 하지만 2016학년...
2016-01-25 20:15
‘청소년 무기력’ 소재로 첫 호 냈어요
“당연하고 단순한 회의였다. “왜 공부해야 하지?” 꽤 열심히 공부하던 나는 어느 순간 내 자신에게 질문을 하고 있었다. (중략) 공부고 뭐고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다. 내가 누구인지도 모...
2016-01-18 20:21
장애인 친구가 쓰는 보조기구 살펴보며 이해의 폭 넓혀
독일의 완구기업 플레이모빌은 드레스를 입은 시각장애인, 휠체어를 탄 남성 등 ‘장애인 인형’을 만든다. 영국의 장애인 부모들은 완구회사들을 향해 더 많은 종류의 장애 인형 제작을 요구...
2016-01-18 20:20
청소년도 시민…당당히 제 목소리 내야죠
‘청소년은 자기 삶의 주인이다.’ 남화성(32)씨는 고교 시절 청소년수련관에 들렀다 우연히 벽에 붙은 청소년 헌장을 봤다. 그 가운데 한 문장이 와 닿았다. 그는 ‘우리가 진짜 자신의 삶의...
2016-01-18 20:19
민간 주도로 누구나 쉽게 의견 낼 수 있어야
“이거 진짜 너희가 만든 거 맞아?” “어떻게 학생들이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지?” 2000년대 중반 정책참여기구에 참여했던 이아무개씨가 당시 국무총리에게 직접 만든 정책 과제를 제안했을 때 들었던 말이다. 그는 “그런 말을 들으며...
2016-01-18 20:13
취업 아닌 대안적 삶 꿈꾸는 청년 모여라
경쟁과 취업에만 얽매이지 않고 대안적인 삶을 살고 싶다면? 지역에서 ‘신나는 무언가’를 함께 기획해보고 싶다면? (사)청소년교육공동체 ‘함께 시작’에서 ‘아름청과’(아름다운 청년과정 1...
2016-01-11 20:37
‘학생부종합전형’ 시대, 학생부 한 줄이 중요하다
기말고사가 끝난 뒤 학기말은 학교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 기록과 오류 정정으로 교사들이 가장 바쁜 시기다. 특히, 대입에서 학생부 내용을 평가해 학생을 선발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이 확...
2016-01-11 20:36
“할머니 위해 배지 판매·기금 모금하며 행동으로 역사 배웠어요”
“방학 때마다 답사를 가는데 우연히 수요집회에 참석하게 됐다. 이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직접 소녀상을 세우자는 아이디어를 함께 냈다.” 서울 이화여고 역사동아리 ‘...
2016-01-11 20:35
혼자서는 좋은 부모가 되기 어렵다
서울시는 직장맘커뮤니티·부모커뮤니티 등 다양한 부모모임을 지원하고 있다. 부모들이 함께 모여 자녀 교육을 이야기하고, 나아가 직장인으로서의 고충도 나누며 서로를 다독일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2015년 초 서울시 부모 커뮤...
2016-01-11 20:33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