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광고

  • “한국교육 10년 후퇴” VS “시민들의 염원 무시”
    지난 8월17일 교육부가 2022년 대입개편안을 발표했다. 핵심은 수능위주 정시 비율을 30% 이상 확대하도록 각 대학에 권고하고, 수능 절대평가 과목을 제2국어와 한문으로 확대하고(기존 영...
    2018-10-01 20:21
  • 현대판 ‘스피커스 코너’인 유튜브
    런던 하이드파크의 한쪽 귀퉁이에는 스피커스 코너(Speaker’s corner)라는 장소가 있습니다. 누구든 작은 상자나 의자 위에 올라서서 정치, 국제 이슈, 종교 등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말할 ...
    2018-10-01 20:21
  • ‘얼평’ 없는 건강한 교실 만들기
    사람의 외모는 지문과도 같다. 전 세계 70억 명이 모두 다른 얼굴이다. 어느 한 기준에 따라 ‘맞고 틀린 것’이 나뉘지 않는다. 미의 기준은 ‘다른 것’이고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우리는 ...
    2018-10-01 20:21
  • “진로 고민할 기회, 우리에게도 필요해요”
    다문화학생 10만명 시대의 진로교육 다문화학생 수가 10만 명을 넘어섰다. ‘2018 청소년 통계’를 보면 2017년 초·중·고 다문화학생은 10만 9천명으로 전년보다 10.3% 늘어났다. 특히 ...
    2018-10-01 20:21
  • 우리 아이 카톡 대화명이 ‘죽고 싶다’로 바뀌었어요
    “왜 하지 말라는 건데요? 자해하는 게 왜 나빠요? 제가 정말 죽을 거 같아서, 사는 게 너무 힘들어서, 살고 싶어서 하는 거예요. 다른 방법이 없는데 이것까지 하지 말라고 하면….” 지난 ...
    2018-09-18 08:23
  • 학부모·학생 눈치는 보는데…교사는 ‘패싱’?
    우리나라에서 교사란 참 묘한 직업이다. 어떤 때는 ‘성직’으로, 어떤 때는 ‘전문직’으로, 또 어떤 때는 ‘노동직’으로 분류된다. 교사에게 아무런 대가 없이 무한정 헌신을 요구할 때는 ‘...
    2018-09-17 20:21
  • ‘지식의 그물’ 만들어주는 ‘완성 독서법’
    우리는 교과서, 책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합니다. 읽은 뒤 정리하는 과정, 즉 정보 처리 속도와 용량을 늘리려면 ‘지식과 생각의 그물’이 있어야 하는데요. 지식과 생각의 그물을 ‘스키...
    2018-09-17 20:19
  • ‘여자답게, 남자답게’...아직도 강요하세요?
    예절 교육 시간.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강사님이 다도 예절을 가르쳐주러 오셨다. “여학생은 빨간색 방석에, 남학생은 파란색 방석에 앉으세요.” 강사님 말씀에 따라 26명의 학생들...
    2018-09-17 20:19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