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광고

  • 학교 밖 ‘온라인 평생학습’ 여기로 오세요~
    [함께하는 교육] 학교를 다니지 않아도 뒤늦게 대학 입학이나 학업에 관심이 생길 수 있다. 신문수 광주북구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팀장은 “검정고시를 보거나 센터 프로그램을 통해 흥미 있는 분야를 찾게 된 청소년들의 경우 대...
    2018-09-04 10:21
  • 학교를 떠났다고요? ‘삶 속’으로 더 들어온 거예요
    수능 등 입시 뉴스 쏟아지는 때 공교육·대학교육 코스 밟지 않고 남과 다른 길 걷는 청소년도 있어 중학교 자퇴 뒤 사회서 꿈 찾거나‘대학은 나중에’ 가능성 열어두고지금 하고 싶은 일 먼...
    2018-09-04 10:14
  • ‘네 잘못이 아니야’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반(反)성폭력 운동의 길고 긴 역사 속에서 떠오른 질문 하나. 피해자는 완벽하게 무력한 존재인가? 그에 대한 응답이 여성주의 자기방어훈련이다. 사회는 피해자가 무기력한 존재이기를 강요...
    2018-09-03 20:14
  • 고구마 줄기처럼 이어지는 나만의 책읽기 해봐
    감자·고구마는 하나의 씨감자나 줄기를 뼈대로 확산돼 여러 덩이줄기, 혹은 덩이뿌리가 됩니다. 줄기를 잡아당기면 흙에서 여러 개 감자·고구마가 연달아 나오지요. 시작은 단 하나의 감자·...
    2018-09-03 20:14
  • “지역인재 채용목표제, 우리가 최고 수혜대학이죠”
    세종시는 전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다. 평균연령은 36.7세로 전국 평균 41.5세보다 5살 젊다. 대한민국 고령화가 심각한 문제지만 세종시는 2012년 7월 41.2살이었던 평균연령이 갈수록 낮아...
    2018-09-03 20:14
  • “‘질문 있는 교실’ 정책에 하브루타 들어맞아”
    요즘 각 시도 교육청은 ‘질문이 있는 교실’을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지식만 전달받는 게 아니라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한데 하브루타에 관...
    2018-08-28 10:10
  • 질문은 있지만 정해진 답은 없는 ‘하브루타’
    “나는 몸이 길고 목이 길어요. 뭘까요?” “기린….” “한데 나는 숲에 살고 긴 혀가 있어요. 뭘까요?” “카멜레온이요!” “몸도 길고 목도 길고 혀도 길고… 뭘까요?” “뱀요. 뱀이...
    2018-08-28 10:10
  • 같은 사안, 다른 사설 비교…진영논리 넘은 ‘뉴스 리터러시 교육’
    한겨레와 중앙일보가 공동기획한 ‘사설 속으로’가 약 5년 동안의 연재를 마무리합니다. 그동안 ‘사설 속으로’를 사랑해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한국 사회의 이른바 진보-보...
    2018-08-27 20:13
  • 적당한 파도 만난 서퍼처럼 필요한 시점에 ‘딱' 일어서라
    아기들은 움켜쥐는 능력이 대단하다. 움켜쥐는 힘으로 자기 몸을 들어 올릴 정도다. 매달리는 일에는 온몸이 관여한다.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조절되는 목. 팔을 굽히는 각도를 맞춘...
    2018-08-27 19:58
  • 독도만큼 사랑해야 하는 섬, 이어도를 아시나요?
    “이어도가 진짜 있는 섬이에요? 거기에 종합해양과학기지도 있다고요?” 지난 8월16일 제주특별자치도 비자림청소년수련원 강당에 모인 초등학생 35명의 눈빛이 반짝거렸다. 이날 오후 2시...
    2018-08-27 19:58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