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광고

  • 8월 28일 함께하는 교육 정보 마당
    그림책 심리지도사 과정 개설 한겨레교육이 그림책 심리지도사 신규 과정을 개설했다. 본 과정은 심리 이론을 토대로 그림책을 분석한 뒤, 이를 바탕으로 치유의 방법을 찾아보고 실제 적용해볼 수 있도록 돕는다. <내 마음을 읽...
    2018-08-27 19:58
  • 문제점 뭘까 찾고 해결책 내보는 ‘기업가정신 교육’
    이번에는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미래 역량 기르는 내용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기업가정신 교육에서 ‘기업가’는 ‘착수하다’와 ‘시작하다’라는 의미의 프랑스어 ‘entreprendre’에...
    2018-08-27 19:58
  • 차별은 폭력을 키운다 아니, 차별 자체가 폭력이다
    우리가 자주 혼동하는 말 중에 ‘다르다’와 ‘틀리다’가 있다. ‘다르다’는 같지 않다는 뜻이고, ‘틀리다’는 잘못되었거나 그래서 고쳐야 한다는 뜻이다. 우리 사회가 차이를 놓고 차별로 몰아...
    2018-08-20 20:14
  • 자전거 페달 밟듯 ‘균형 독서’해야 넘어지지 않아
    자전거는 페달의 양쪽에 똑같은 힘을 주면 움직이지 않습니다. 반대로 한쪽 페달에만 계속 힘을 주면 조금 전진하다 멈춥니다. 번갈아가면서 양쪽 페달에 힘을 줘야 계속 앞으로 전진합니다....
    2018-08-20 20:12
  • ‘역지사지’ 주입식으로는 배울 수 없습니다
    휴대폰만 열면 온갖 영상이 쏟아지는 온라인·모바일 시대다. 요즘 학생들은 휴대폰 카메라로 즉석 영상을 만들어 인스타그램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리고, 즉각적인 ‘좋아요’ 반응을 주고받는다. 이른바 ‘인스턴트식’ 네트워...
    2018-08-20 20:12
  • “대학 이사회는 지원 기관…군림하려 해서는 안돼”
    한국 사학의 고질적 문제 가운데 하나가 재단의 전횡이다. 교육은 공공재라고 하지만 학교를 사유물로 취급하는 재단이 흔했다. 이 때문에 학내 분규가 발생하고 숱한 우여곡절을 겪고도 제...
    2018-08-20 20:12
  • 국·영·수 공부로는 못 느끼던 ‘카타르시스’ 맛봤어요
    “그때, 왜 그런 말을 하셨어요? 이모도 피해자였잖아요. 제가 받을 상처를 정말 가늠하지 못하셨나요?” 동대전고등학교 연극부의 창작극 <루피너스> 가운데 일부이다. 이 연극은 이모...
    2018-08-20 20:12
  • [사설 속으로] 한겨레·중앙일보, ‘2022학년도 대입개편’ 사설 비교해보기
    <한겨레>와 <중앙일보>가 함께 구성한 지면으로 두 언론사의 사설을 통해 중3~고2 학생 독자들의 사고력 확장에 도움이 되도록 비교분석하였습니다. [한겨레 사설] ‘정시 ...
    2018-08-20 20:10
  • 아직도 1년을 4번으로 나누니? 앞으로 6번으로 나눠봐
    학생들은 여름방학이 마무리되며 서서히 2학기를 준비하고 있을 겁니다. 1학기보다 더 잘해보자는 각오와 다짐들이 생겨나는 시기지요. 이번 칼럼에서는 엘에스피(진로, 플래닝, 기업가정신...
    2018-08-13 20:05
  • 긴장풀기, 후퇴, 대항, 제압… 상황에 따른 다양한 방어행동
    공격은 알아차리지 못하는 사이에 기습적으로 일어나기도 하고, 지나칠 수 있는 소소한 것들부터 점점 덩치를 키워나가기도 한다. 이렇다 할 용건이 없는데도 빤히 쳐다보는 사람이 있다. 곧...
    2018-08-13 20:0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