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광고
뉴스
l
생각키우기
l
교실안팎
l
상담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공부도, 노는 것도 잘하는 게 없는 나”
윤다옥 교사의 사춘기 성장통 보듬기 “엄마, 나처럼 공부는 못하는데 날라리도 아닌 애들은 어떤 고등학교로 가야 하는 거야?” 지인이 중학생 아들이 말한 거라며 들려준 얘기다. 아, 정말 그런 생각을 할 수 있겠구나 싶었다. ...
2017-09-26 10:12
졸업장 있다고 ‘꽃길’만 걷는 거 아니잖아요
대학 진학 대신 ‘나만의 길’ 찾는 이들 일찍 세상 경험하며 하고픈 일 찾아 자립 꿈꾸며 지역 청년문화 만들고 외식업 등 생활 속 문제점 발견 뒤 직접 솔루션 만들어 창업까지 해 스스로 선...
2017-09-25 20:14
9월 26일 함께하는 교육 정보마당
‘진로독서’ 강사 양성과정 열어 한겨레교육이 ‘진로독서 지도사 양성과정’을 연다. 독서를 매개로 한 진로지도 방법을 체계적으로 배우는 과정이다. 진로 발달 단계의 이해와 성격 유형, 직업 흥미, 다중지능 등 검사도구 활용법과 ...
2017-09-25 20:14
수시 끝나고 붕 뜬 마음?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냐
“6개 대학에 수시 원서 내고 나니까 수험생활 끝난 기분이 들어요. 수능이 코앞이지만 친구들도 마음이 풀어진 것 같다고, 집중 안 된다고 다들 그래요.” 서울 동대문구 경희여자고등학교...
2017-09-25 20:13
수능날 가방에 뭘 넣을까 생각해봐요
선배가 말하는 D-50 준비할 것 “D-50일 기준으로 하루 4시간씩 공부하면 총 200시간입니다. 1시간에 영역별 10문제만 풀어도, 50일 동안 2000문제를 풀 수 있는 시간이죠.”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1학년 안형준씨의 말이다. 수...
2017-09-25 20:13
[사설 속으로] 한겨레·중앙일보, ‘대북 인도적 지원’ 사설 비교해보기
<한겨레>와 <중앙일보>가 함께 구성한 지면으로 두 언론사의 사설을 통해 중3~고2 학생 독자들의 사고력 확장에 도움이 되도록 비교분석하였습니다. [한겨레 사설] 대북 ...
2017-09-25 20:11
잊힌 ‘국제 문해의 날’과 디지털 교육
9월8일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국제 문해의 날’이었다.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은 지식의 시대에 무엇보다 소중한 힘이다. 모든 사람이 문해력을 갖추게 함으로써 개인과 인류의 고른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이날 제정의 목적이다. ...
2017-09-19 15:01
“왜 번역기 쓰면 안돼요?” 어학교수의 고민
최근 한 지인이 중학생 자녀가 영어 숙제를 하는 것을 보고 화를 낸 얘기를 했다. 아이는 스마트폰 번역기를 이용해 영작 숙제를 하고 있었다. 그는 “앞으로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영작 숙제...
2017-09-19 15:01
게임아이템 구매는 빠른 욕구충족 심리
Q. 20살 대학생 아들이 갑자기 학교도 휴학하고 게임에 몰입하면서 아이템을 수십만원씩이나 결제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들은 중학생 때 게임 아이템으로 수백만원을 몰래 결제해 ...
2017-09-19 15:01
한자 급수 자격증은 있는데 어휘력은 꽝?
어느 고등학교 선생님이 들려준 경험담으로 이번 공부법 얘기를 시작할까 합니다. 선생님은 별로 어렵지 않다고 생각한 국어 문제를 학생들이 너무 많이 틀려서 의아했다고 합니다. 이유를 ...
2017-09-18 22:21
전체보기
제목만 보기
사진기사 보기
RSS
도움말
맨앞으로
이전으로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으로
맨뒤로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