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더 나은 세상이란 기회가 평등한 세상…기술이 도울 수 있어”
    “‘키즈 메이커 스튜디오’에서 만난 아이들이 20년 뒤, 한국의 구글을 만들 래리와 세르게이(구글 공동창업자)가 되리라고 확신한다.” 세계적인 인터넷기업 구글의 사회공헌 플랫폼인 ‘구글...
    2015-11-02 20:27
  • 외고 입시철, 나에게 맞는 학교인지 먼저 봐야
    지난달 7일 강원외고를 시작으로 전국 31개 외국어고등학교 2016 입시가 시작되었다. 외국어에 능숙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외고는 외국어 교육을 심도있게 받을 수 있고, 대입 실적이...
    2015-11-02 20:23
  • 퀴즈대회 등 참여하며 ‘인권’ 제대로 알아
    파란색 후드티를 입은 김원희(서울창림초등학교 5)군의 등에 흑인 남자의 사진이 붙어 있다. 그 사진을 본 한 여학생이 등을 툭 건드리자 김군이 말했다. “내가 누구게?” “마틴 루서 킹....
    2015-11-02 20:22
  • ‘내 아이’ 키운다는 마음 모이자 마을도 살아나
    학교 본관 입구에 테라코타 흉상이 쭉 늘어서 있다. 어떤 작품의 입부분에는 엑스 자 표시가 붙어 있다. 머리 위에 도깨비뿔이 달렸거나 눈·코·입이 아예 없는 것도 있다. 지난달 23일 찾아...
    2015-11-02 20:22
  • 온·오프서 문학 친구 만나 창의적 글쓰기 배워
    터키 출신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오르한 파무크나 브라질이 낳은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 파울루 코엘류는 문예창작과를 졸업하지 않았다. 해외의 여러 나라의 대학 학부에서 문예창작학과...
    2015-11-02 20:20
  • 시·소설…문학 글쓰기도 ‘정답’ 강요받아요
    문예창작과나 극작과의 수시 실기전형이 대부분 끝났다. 이제 이런 학과를 지망하는 ‘문학 청소년’들은 수시 결과를 기다리며 수능과 정시 실기를 준비해야 한다. 성적우수자나 문학특기자 ...
    2015-11-02 20:20
  • ‘환각물질’ 손댄 우리 아이 어쩌나
    이맘때쯤 항상 생각나는 아이가 있다. 아이가 보내는 ‘도와달라’는 신호를 정확히 알아채질 못했다. 아이가 겪고 있는 위기의 신호들을 사춘기, 청소년기의 정서적인 징후들로 쉽사리 판단하...
    2015-10-26 20:31
  • ‘어떤 판단이 옳았을까?’…‘역사’ 놓고 ‘학생 생각’ 묻습니다
    “민주주의는 성숙한 사람들을 요구한다. 성년됨의 구체적 실현은 교육으로 하여금 반박하는 교육, 저항하는 교육이 되도록 만드는 곳에서 이루어진다.” 오늘날 독일 역사 교육의 이론적 토...
    2015-10-26 20:1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