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익숙한 교재 보고 또 봐라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이 찬바람과 함께 우리 앞에 성큼 다가왔다. 올해는 수능에 60만5988명이 지원했다. 재학생은 전년 대비 2만2712명 감소한 45만9342명(75.8%), 졸업생은 970명 감소한 13만5120명(22.3%)이다. 졸업생이 지...
    2016-11-07 20:24
  • 실력만큼 중요한 거? ‘멘탈 관리’지~
    브라질 리우올림픽 당시 양궁 선수들이 애용했다고 알려진 ‘루틴카드’. 평소 훈련 때 몸에 밴 동작이나 심리상태를 글로 적어둔 마인드컨트롤 장치다. 심리적 안정을 찾고 경기 리듬을 유지...
    2016-11-07 19:29
  • 아이들 싸움, 부모가 판사 역할 한다고 해결되지 않아
    중2 다혜와 초6 윤아 두 자매를 키우는 정명화씨는 아이들이 눈앞에서 싸우더라도 더 이상 놀라지 않는다. 달려가서 떼놓지도 않는다. 다 싸우고 스스로 해결할 때까지 최대한 모른 척한다. ...
    2016-11-07 19:28
  • 배움의 한 부분, 기적 바라지 말고 ‘최선’ 다하길
    현직 교사의 수험생 격려 메시지 수능을 앞둔 학생 여러분, 그동안 고생 많았습니다. 수능 점수가 인생을 결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려운 상황에도 포기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삶의 자세가 인생을 결정합니다. 시험...
    2016-11-07 19:27
  • 사춘기 마음 주파수 읽는 법
    “우리집은 특별한 문제가 없어요. 부부 사이도 좋고요. 아이한테 관심도 많은데 뭐가 문제가 된 건지 모르겠어요. 아이가 왜 이러는지 이해가 안 돼요.” 이렇게 말하는 학부모들이 종종 있다. ‘너무 사랑을 많이 줘서 그런가’ 또는...
    2016-11-01 11:29
  • ‘옥상 위험해’ 아니라 ‘함께 어떻게 바꿔볼까?’ 고민해봐
    ‘시간, 공간, 친구, 놀이.’ 4가지 열쇳말을 중심으로 학교 안을 구석구석 뒤졌다. 시간과 공간, 함께 뛰어놀 친구가 있을 때 놀이는 자연스럽게 일어났다. 아이들은 맨 먼저 교실에 둘러...
    2016-11-01 11:27
  • 신방과 학생, 역사 모르면 고생합니다
    〈악마 기자 정의 사제〉 주진우·함세웅 지음, 시사인북 펴냄, 2016년 신문방송학과에 들어온 뒤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 것이 있습니다. 텔레비전에서만 볼 수 있었던 고급 카메라 작...
    2016-11-01 11:25
  • SNS서 롤모델 만나고, 소논문 자료도 찾아요
    이 주의 교육노트 “스마트폰으로 ‘그것’ 좀 안 했으면 좋겠구먼….”‘디지털 이주민'은 아이 페북질이 ...
    2016-11-01 11:24
  • ‘팔로어’ ‘좋아요’로 울고 웃는 아이를 어쩌죠?
    스마트폰만 들여다보고 있는 것도 모자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사진을 지나치게 ‘뽀샵’해 올린다거나 ‘좋아요’에 집착하는 아이를 보며 이대로 놔둬도 될까 걱정이 앞선다. 에스엔에스를 통한 이성 교제가 확산되고, ‘몸캠’까지 ...
    2016-11-01 11:24
  • [사설 속으로] 한겨레·중앙일보, ‘이대 총장 사퇴 논란’ 사설 비교해보기
    <한겨레>와 <중앙일보>가 함께 구성한 지면으로 두 언론사의 사설을 통해 중3~고2 학생 독자들의 사고력 확장에 도움이 되도록 비교분석하였습니다. [한겨레 사설] 이대 사...
    2016-10-31 20:2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