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네트워크 성공시대/④ 한국공구조합
|
166곳 연간 300억 코발트·철분말 등 사들여
10% 싸게…가격파동 때도 공급부족 막아
네트워크 성공시대/④ 한국공구조합
한국의 조그만 중소기업이 세계 원자재 시장에서 초대형 구매자로 군림한다?
얼핏 앞뒤가 안맞는 상황처럼 느껴지지만, 여럿이 머리를 맞대면 길이 트이는 법이다. DIY가구를 만드는 가정용 수공구부터 자동차 엔진 가공에 쓰인는 절삭공구까지 다양한 ‘연장’들을 제조하는 중소기업들의 모임 ‘한국공구공업협동조합’(공구조합)이 바로 이 독특한 사연의 주인공이다. 조합에서 회원사들을 끌어모아 연간 300억원 규모로 공동구매를 벌이는 까닭에, 코발트·철 분말 등 원자재 시장에선 ‘빅 바이어’로 통한다. 말하자면 공구조합이 ‘공구’(공동구매의 줄임말)의 달인인 셈이다.
공구산업은 기계·자동차·조선·전자 등 우리 경제의 주요 제조업을 떠받치는 핵심 기반산업이다. 실제로 공구조합 회원사들은 현대차에 초경 절삭공구를 공급하고 삼성전자에 반도체 금형 공구를 대주는 등 이른바 ‘대공장’제조공정의 든든한 지원군으로 활약하고 있다. 숙련공의 ‘손’을 많이 타는 노동집약적 성격을 띠고 다품종 소량생산이 주류를 이루는 터라, 전형적인 중소기업 업종이기도 하다. 현재 국내에는 430여개의 공구 제조업체가 있는데, 이중 166곳이 공구조합에 가입돼 있다.
지난 1988년 설립된 공구조합은 전신인 금형공구공업협동조합 때까지 치면 20년이 넘게 공동구매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주요 원자재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업체들끼리 공생의 길을 찾은 것이다. 공동구매라면 일단 싼 값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공구조합은 매년 원자재 공급업체와 조달협상을 통해 시중가격보다 평균 10%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계약을 체결해 왔고, 지난해에만 79개업체서 130억원 안팎의 원가절감 효과를 거뒀다. 코발트 메탈 파우더의 경우 국가적 차원에서 단일구매에 나서는 것은 한국이 유일하며, 지금도 일본의 미쓰비시나 스미토모사 등보다 싼 값에 공급받고 있다.
|
|
|
네트워크 성공시대
|
임주환 기자 eyelid@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