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7.10.20 15:39
수정 : 2017.10.20 15:49
|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는 20일 울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건설 재개’ 권고안 발표에 유감의 뜻을 표했다.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 제공
|
210개 단체로 꾸려진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시민운동본부’ 시청 앞 기자회견
“원전 축소 의견 압도적인데도 울산 인근에 16개의 최대 원전 낳는 모순 발생”
|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는 20일 울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건설 재개’ 권고안 발표에 유감의 뜻을 표했다.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 제공
|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20일 건설 재개 쪽으로 공론조사 결과 및 정부 권고안을 발표한 데 대해 울산지역 210개 시민사회·주민단체로 꾸려진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는 “유감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울산시민운동본부는 이날 오후 울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백지화를 약속했지만 공론화는 정부의 후속대책 없이 찬반단체 논리와 토론에만 맡겨졌고, 이에 정부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았다. 더욱이 신고리 5·6호기 직접 영향권에 있는 부산·울산·경남 시민의 목소리도, 미래세대의 목소리도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유감을 나타냈다.
울산시민운동본부는 또 “우리는 그동안 신고리 5·6호기를 지진대 위에 건설하는 문제점, 다수 호기와 인구밀집도에 따른 안전성 문제를 끊임없이 제기했으나 문제가 하나도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건설 재개 권고안이 나왔다. 이번 공론조사나 각종 여론조사 결과 원자력발전이 축소돼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강하게 나타났지만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 결정으로 울산 인근에 16개의 가장 많은 핵발전소를 낳게 되는 모순된 상황이 돼버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탈원전에 대한 국민 열망이 뚜렷하다는 것을 직시하고, 원전 축소를 중심으로 탈핵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 부산·울산 일대에 몰려 있는 핵발전소 수를 줄여야 하고, 문제 소지가 있는 핵발전소는 조기 폐쇄해야 한다. 아직 완공되지 않은 신고리 4호기는 완벽한 안전성이 담보되는 평가를 하고 나서 운영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핵발전소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한 보루인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위상과 구조를 혁신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
울산시민운동본부는 지난 16일 울산시청 앞에서 정부와 공론화위에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촉구하는 108배를 하고, 연좌농성을 벌여왔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