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론화위 결과 발표-숙의가 변화시킨 여론
‘숙의 민주주의’로 공론이 탄생했다. 신고리 5·6호기 영구 중단 여부에 대해 시민대표참여단 471명은 결론을 내렸다. 시민들이 바라는 한국의 원전 정책 방향도 더욱 분명해졌다.
‘판단 유보’ 첫 여론조사땐 36%합숙토론 첫날 25%→4차땐 3%로
‘신고리 5·6호기 재개’ 늘면서도
‘원전 비중 축소’도 갈수록 증가 여론조사와 다른 공론조사 결론
숙의 과정 ‘다양한 정보’가 영향
재개 찬성자도 32%는 “원전 축소”
“보상대책·투명성 강화 등” 주문도 ■ ‘유보’가 사라졌다 지난 7월24일 출범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는 8월25일~9월9일 전국의 성인남녀 2만6명을 대상으로 1차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조사에 응한 시민 3명 가운데 1명(35.8%)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공사 중단 여부에 대한 판단을 공론화 과정 뒤로 미뤘다. ‘잘 모르겠다’는 이유에서다. 9월16일 공론화위 오리엔테이션이 열리고 시민대표참여단 471명이 본격적인 숙의 절차에 돌입하자 이들의 생각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시민참여단은 자료집, 인터넷 동영상 강의, 온라인 전문가 질의응답 등 공론화위가 설계한 숙의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최종 결정의 밑그림을 그리는 데 도움이 됐다. 시민참여단은 개별적인 숙의를 마친 뒤 2박3일 종합토론회(10월13~15일)에 참석했고, 3차 조사에 응했다. 조사 결과 유보 의견은 24.6%로 1차(35.8%) 조사 때보다 11.2%포인트나 줄었다. 대신 재개 의견(44.7%)이 8.1%포인트, 중단 의견(30.7%)이 3.1%포인트 더 늘었다. 어느 쪽으로든 생각을 정리한 사람이 더 많아졌다는 의미다. 시민참여단이 실제 중단 또는 재개로 마음을 정한 데는 2박3일 합숙토론이 결정적이었다. 합숙토론 프로그램이 모두 마무리된 뒤 15일 실시된 4차 조사 결과를 보면, 한쪽으로 생각을 정리한 시민이 눈에 띄게 늘었다. 유보 의견은 3.3%로 1차 조사에 비해 32.5%포인트, 3차 조사에 비해 21.3%포인트나 줄었다. ‘잘 모르겠다’고 답한 이는 시민참여단 가운데 15명 정도에 불과했다. 시민참여단의 절반 이상인 57.2%는 건설 재개 쪽으로 마음을 돌렸고, 39.4%는 중단으로 생각을 굳혔다. 유보 의견이 사라진 것은 중단, 재개에 대한 의견 분포에서뿐 아니라 한국의 원전 정책에 대한 의견 조사에서도 드러난다. 1차 조사에서 시민참여단 대부분은 원전이 현재 수준보다 축소돼야 한다(45.6%), 현재 수준으로 유지돼야 한다(32.8%), 현재보다 확대돼야 한다(14%)는 의견을 각각 냈지만, ‘잘 모르겠다’는 의견(7.5%)도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의견은 숙의를 거듭할수록 3.6%(3차 조사)에서 1.6%(4차 조사)로 줄었다. 원전 정책이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서 모르겠다고 응답한 이가 시민참여단 471명 중 단 7~8명에 불과했다는 얘기다.
|
김지형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이 2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공론화 결과를 발표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