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판] 신현호의 차트 읽어주는 남자
⑭여성 정치할당제
여당 시도지사 후보 모두 남성
기초단체장·지방의회도 압도적
전세계 여성의원 비율 23.4%
한국은 17%로 116등 그쳐
여성할당제 100여개국 도입
“자격 없는 여성 진출” 반대도
스웨덴 지방의회 분석 결과
“할당제 도입 뒤 의원 자질 높아져”
이번 지방선거는 여야 간의 팽팽한 접전이라기보다는 다소 일방적인 양상을 띠어 전체적으로 관심이 높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성평등과 관련된 사항 두 가지는 제법 화제가 됐습니다.
첫째는 시도지사 후보 열일곱명 전원이 50대 이상 남성으로 구성된 집권여당의 공천 지도였습니다.(두번째 사항은 글 말미에 말씀드리겠습니다.) 이것이 발표되자 여러 여성단체들은 “더불어민주당은 남성과만 더불어 갈 것이냐”고 강하게 비판하였습니다. 그런데 다른 주요 정당들도 모습은 많이 다르지 않아서 광역자치단체장 여성 후보가 자유한국당은 세종특별자치시 한명, 정의당은 부산광역시 한명뿐이었고, 바른미래당 역시 한명의 여성 후보도 없었습니다. 기초단체장이나 지방의회 지역구 의원 후보도 압도적 다수가 남성이었습니다.
여성의 정치 참여가 낮은 것은 세계적인 현상입니다. 유엔에 의하면 2017년 1월1일 기준으로 여성 정치인은 국가 수반 중 5.7%, 장관 중 18.2%였습니다. 국회(단일 의회 및 양원제의 하원)의 의원은 23.4%가 여성이었는데 1995년 11.3%에 비하면 진일보한 것이지만 증가 속도는 매우 느린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림1>에서 보시는 것처럼 여성의 국회 진출은 국가별로도 편차가 커서, 북유럽 국가들이 41.7%로 가장 높았고, 아시아와 아랍 지역은 각각 19.6%와 18.9%로 낮은 편이었습니다. 한국은 유감스럽게도 17%로 매우 낮아서 전체 193개국 중 116등이었습니다. 주요 국가 중 우리보다 여성 의원 비율이 낮은 국가는 러시아(15.8%)와 일본(9.3%) 정도였습니다.
여성정치할당제 도입 효과
여성의 정치 참여를 높이려는 노력이 많이 있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여성정치할당제입니다. 국가별로 방식은 조금씩 다르지만 의회의 여성 비율을 높이기 위해 일정 비율의 후보자 또는 당선자를 여성에게 할당하는 제도입니다. 여성할당제는 1970년대 북유럽에서 처음 도입된 후 확산되어 지금은 100여개국에 도입됐습니다. 한국은 2000년 정당법에 국회와 광역의회 비례대표 중 여성의 비율을 30% 이상으로 할 것을 권고하는 규정이 도입된 후, 지금은 비례대표 50%와 남녀 후보를 홀짝으로 교차시키는 제도(교호순번제), 여성후보추천 보조금 등으로 확대 발전했습니다.
여성할당제는 직접적으로 여성의 정치 진출을 강제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었습니다. 2000년 16대 총선에서 여성 의원 비율이 5.9%에서 2004년 17대 총선에서는 13%로 배 이상 늘었습니다. 이 효과는 전세계적으로도 발견됩니다. 미국 밴더빌트대학의 정치학자 어맨다 클레이턴과 스웨덴 웁살라대학의 정치학자 페르 세테르베리 교수는 1995~2012년 사이에 여성정치할당제를 도입한 65개국 사례를 통하여 여성 의원 비율을 추적했습니다. (‘할당제 충격: 세계의 성별 정치할당제와 정부 지출 변화’, <저널 오브 폴리틱스>, 2018) <그림2>를 보면 여성정치할당제가 도입된 직후에 여성 비율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성별할당제가 여성 의원 비율을 높인 것은 분명하지만 이에 대한 반대 또는 우려도 상당합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선거에서 여성을 체계적으로 남성에 비해 우대하는 것은 기회의 균등, 능력주의 및 민주주의의 원칙을 훼손한다는 것입니다. 할당제 도입에 의해 자격을 갖춘 남성 정치인이 의회에 진출하지 못하고, 자격 없는 ‘그저 그런’(mediocre) 여성 정치인이 선출되는 것에 대한 걱정입니다. 이것은 사실 선거 이외에 기업 이사회, 교수 선임, 학생 선발 등 각 영역에서 여성에 대한 적극적 조치를 도입할 때면 항상 제기되는 문제입니다. 특히 선거는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이 되는 제도이기 때문에 이런 우려를 쉽게 일축할 수는 없습니다.
|
*이미지를 누르면 확대됩니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