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검색
메인 타이틀
여덟 갈래 정책 산책
2017.12.20 16:50
0
0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네이버북마크
구글북마크
과학기술정책은 과학기술인의 더 나은 연구환경에 중요하며 또한 우리 사회의 더 나은 발전에 중요합니다. 카이스트 과학기술정책대학원에 있는 여덟 명 필자들이 과학기술을 위한 정책, 더 나은 사회 정책을 위한 과학기술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이전 글들은 http://scienceon.hani.co.kr/?mid=media&category=508847 에서 볼 수 있습니다.
“동무는 무슨 연구를 하십네까?”
2019년의 한여름, 남한과 북한의 과학기술자들이 평양에서 만났다. 두 정상이 ‘평양 선언’에서 ‘다양한 분야 교류 협력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약속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아 성사된 만남이었...
2018-12-03 06:01
개발원조 나선 ‘포스터 차일드’의 나라, 한국의 경험
2018년 7월 23일 월요일 저녁 8시. 폭우가 내리는 가운데 라오스 메콩강 지류에 건설 중인 세피안-세남노이 수력발전소(이하 ‘세피안 사업’)의 보조댐 하나가 무너져 내리는 사고가 일어났다...
2018-10-01 11:20
전기차와 풍차가 선택한 제주, 그곳이 겪는 딜레마
5월 초, 제주도에 사람들이 전기자동차를 보러 모였다. 제주 중문단지 국제컨벤션센터를 지나던 몇몇 관광객들도 전기차 엑스포라는 문구를 보고 엑스포장을 기웃거렸다. 컨벤션센터 로비에...
2018-05-25 13:58
재활용 쓰레기 사태, ‘세계 위험산업’의 관점에서 보자
2018년 4월의 첫날. 봄 기운이 완연한 서울 곳곳에서 때아닌 쓰레기 대란이 벌어졌다. 재활용 쓰레기 수거 업체가 폐비닐 수거를 거부하면서 쓰레기가 제때 처리되지 못하고 쌓이게 된 것이...
2018-04-13 10:30
유해물질 관리, 알권리 확대만으로 정부 책임 충분치 않다
화학물질을 통해서 현대 인류는 막대한 물질적 풍요를 이루어냈다. 화학비료의 발달은 식량 생산의 획기적 증대를 불러왔고, 석유화학의 발달은 의류와 플라스틱 제품 등 일상 용품의 대량생...
2018-02-26 13:55
여성 안심귀가 스마트 치안이 놓치고 있는 것들
최근 여성 안전에 대한 관심과 논쟁이 뜨겁다. 근본적인 원인은 뚜렷하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크게 증가한 것이다. 대검찰청에 따르면, 2015년 성폭력 범죄는 3만1063건 발생하여 20...
2018-01-22 14:06
재난 로봇이 구조현장에서 활약하려면
지난 11월 1일 수요일,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100일 앞두고 성화가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성화는 인천대교를 지나 제주로 옮겨진 뒤 올림픽 개막일인 2018년 2월 9일까지 전국 방방곡곡 ...
2017-12-21 10:35
종료 기획연재
종료 기획연재
지난연재보기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