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4년 백두산 첫 방문 이후 지금껏 백두산 사진만 찍어온 안승일 작가의 작품. 한겨레는 1988년 5월 15일 창간호 1면에 이어, 2018년 5월 15일 창간기념호 1면에 백두산 천지 사진을 실었다.
|
[한겨레 30년을 말하다]
기획 영상 <30, 한겨레와 한반도 평화>
화보 <북한 관련 취재 사진 대방출> 공개
|
1994년 백두산 첫 방문 이후 지금껏 백두산 사진만 찍어온 안승일 작가의 작품. 한겨레는 1988년 5월 15일 창간호 1면에 이어, 2018년 5월 15일 창간기념호 1면에 백두산 천지 사진을 실었다.
|
창간호 1면에 커다랗게 백두산 천지 사진을 실은 것은 당시 한국 사회의 ‘금기’를 건드리는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 |
1989년 7월 13일 이른 아침 양평동 사옥에서 사원들이 스크럼을 짜 편집국 압수수색을 막고 있다. 그러나 불시에 들이닥친 안기부 수사요원들과 경찰 8백여명은 철문을 뜯어낸 뒤 농성사원을 끌어냈다. 세계언론사에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신문사 편집국에 대한 압수수색은 취재활동의 일환으로 얻은 자료를 공권력의 이름으로 빼앗기 위해서였다. 자료사진
|
![]() |
1990년 9월 6일 본사를 방문한 북한 기자단 단장 김천일 보도 부장(오른쪽)이 본사대표이사실로 송건호 사장을 찾아가 인사를 건네며 악수하고 있다. 자료사진
|
![]() |
1994년 7월 10일 김일성 북한 주석의 사망 소식을 전한 〈한겨레〉지면.
|
![]() |
2002년 10월 13일 오후 울산 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한국과 태국의 남자축구 3-4위 결정전에 북한 응원단이 나와 한반도기를 흔들며 한국 선수들을 응원하고 있다. 이들이 오로지 남쪽 선수들을 응원하기 위해 경기장을 찾은 것은 이날이 처음이다. 울산/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