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샤런 샤오마이, 츠또우 송까오, 파이구 딴판, 딴딴미엔
|
[매거진 esc] 예종석의 맛있는 집|딘타이펑
우리가 정초에 즐겨 먹는 만두는 메소포타미아 문명권에서 시작되어 실크로드를 따라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전해졌다는 것이 정설이다. 오늘날 만두는 여러 가지 형태와 이름으로 아시아는 물론 유럽에까지 퍼져 있지만 중국이 가장 다양한 만두를 일상적으로 먹고 있다는 점에서 역시 그 본고장이라 할 수 있다. 중국 사람들이 만터우라고 부르는 만두(饅頭)는 ‘오랑캐의 머리’라는 뜻인 蠻頭(만두)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촉한의 제갈량이 남만을 정벌하러 갔을 때의 일이다. 노수라는 강을 건너는데 풍랑을 만나 앞으로 더 나아갈 수가 없게 되었다. 49개의 사람 머리를 제물로 바쳐야 한다는 신하들의 진언을 받은 제갈량은 꾀를 내어 사람 머리 모양으로 빚은 만두로 제사를 대신 지내고 위기를 극복하였다고 한다. 이 蠻頭가 변해서 오늘날의 饅頭가 되었다는 것이다. 중국의 만터우는 사실 우리가 알고 있는 만두가 아니라 소가 들어 있지 않은 찐빵이다. 우리나라의 중국집에서 흔히 내놓는 꽃빵(花卷)이 그 변형이다. 만터우 외에도 중국 만두로는 우리의 일반적인 만두에 해당하는 자오쯔(餃子)와 왕만두라 할 수 있는 바오쯔(包子)가 대표적이다. 자오쯔가 명절 같은 특별한 날에 먹는 음식이라면 바오쯔는 아침식사나 간식으로 자주 먹는 음식이다. 샤오룽바오(小籠包)는 바오쯔를 작게 빚은 것으로 딤섬의 대표적인 메뉴이다. 딘타이펑(鼎泰豊)은 이 샤오룽바오의 하나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식당이다.
|
예종석의 맛있는 집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