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방송, 문화방송, 교육방송 제공
|
[매거진Esc] 너 어제 그거 봤어?
토론문화의 끝을 보여준 EBS의 <토론카페>, 그리고 아쉬웠던 <거침없이 하이킥>
범이가 미국으로 떠났을 때 민호의 기분이 이랬을까. 9개월 동안 시청자들의 배꼽을 간질이고 가슴을 녹였던 <거침없이 하이킥>이 시청자들과 작별을 고했다. 색깔 있는 연애 시트콤 <소울메이트>의 작가 조진국(<고마워요, 소울메이트>저자·사진 오른쪽)씨와 결석 한 번 없이 <…하이킥>을 시청했던 정석희(방송 칼럼니스트)씨가 <…하이킥>의 추억을 더듬었다. 또 인터넷을 불질렀던 교육방송 <토론카페>의 말실수 해프닝과 <미녀들의 수다>를 통해 ‘대화의 매너’를 짚어봤다.
정석희 드라마의 결말에 대해서 이렇게 말이 많은 건 <발리에서 생긴 일>과 <파리의 연인> 이후 처음인 것 같다. 특히 민-민(민용-민정)라인의 결말에 대한 추측이 종방 한 달 전부터 분분했는데 개인적으로는 좀 아쉽다. 사랑이 별거 아니고 어떻게든 살려면 살아진다는 게 인생이라는 걸 아는 세대지만 시트콤까지 이렇게 허무한 인생을 가르치는 결말로 끝났어야 했나.
조진국 시청자 입장에서 분하기도 하다. 서민정은 민용의 모든 상황을 감내하면서 그렇게까지 어렵게 사랑했는데 그냥 좀 사랑하게 놔두지 너무 매몰차게 끝난 것 같다.
서민정이 민용 좀 사랑하게 놔두지~
정 윤-민(윤호-민정)의 열린 결말이 더 심난하다. 내가 마흔아홉 살인데 나보다 열 살 어린 신승훈이나 김민종과 내가 나란히 있다고 그림이 되겠나?(웃음) 물론 윤호가 열 살 차이 별거 아니란 말로 누나들 가슴에 불을 지르긴 했지만, 열 살 차이, 별거 맞다.(웃음)
조 다른 이야기지만 시트콤 하나 끝날 때마다 시트콤이 죽었네, 부활했네, 천편일률적인 제목으로 기사들이 쏟아져나온다. 시트콤이 좀비인가?(웃음) 외국처럼 시트콤이 동시적으로 대여섯 개씩 방영된다면 모를까 딱 하나 가지고 죽였다, 살렸다 진단하는 건 이상하다.
정 나는 엄마라서 그런지 자꾸 준이가 눈에 밟혔다. 첫 회가 준이의 나레이션으로 시작했는데 민용과 신지의 갈등을 보여주기 위해 아기를 끌어왔다가 그 용도가 약해지니까 좀 방치되는 느낌도 들었고, 캐릭터를 만들었을 때는 작가가 끝까지 책임을 져야 하는 거 아닌가, 아쉬웠다.
조 작가 입장에서 보면 그거 너무 힘들다.(웃음) 아무래도 시청자들이 더 주목하는 캐릭터에 좀더 집중할 수밖에 없다. 이 정도면 캐릭터 안배도 훌륭하고 전체적으로 이만한 수준의 시트콤을 뽑아낸다는 건 대단히 힘든 일이다. 다만 뒤로 갈수록 멜로 드라마적 요소가 강해지면서 김병욱 시트콤의 참맛이 좀 약해진 거 같다.
정 그러는 바람에 박해미와 정준하로 대변되는 중년 부부의 삶이 이야기 속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서 가족 시트콤이라는 타이틀이 희미해졌다.
조 이순재, 나문희, 박해미 등 대단한 연기파들이 시트콤에 투입된 것도 좋았다. 많은 배우들이 시트콤을 쉽게 생각하고 드라마의 전 단계로 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는데, <…하이킥>은 극본뿐 아니라 배우들의 연기력을 통해 시트콤이 하나의 완전한 장르라는 걸 증명했다.
정 최민용과 정일우가 없었다면 이렇게 열심히 봤을까 싶다. 둘 다 까칠한 성격 아닌가. 속정 있는데 잘 드러내지 않고. 남편이 그랬는데 연애할 때 생각났다. 남편도 민용이처럼 데이트하고 헤어지면 한 번도 뒤돌아보지 않아서 그게 참 서운했다. 물론 나도 서 선생처럼 살갑고 애교 있는 성격이 아니라서 표현하지 못했는데, 드라마에 나오는 애정 표현들이 너무 예뻤다.
이안, 전여옥·신정아와 도매금으로…
조 지난 주말은 교육방송 <토론카페> 때문에 인터넷이 시끄러웠다. 그 프로그램은 안 봤는데 검색어 순위에 낯선 이름인 이안이 계속 1위에 오르니까 동영상을 찾아보게 되더라. 전거성도 뜨셨더라.(웃음)
정 이슈가 된 건 이안의 발언이었지만 전원책 변호사가 시종 패널을 깔보는 듯한 태도가 실은 더 불쾌했다. 역사적으로 봤을 때 사고하고 사색하는 여자가 한 명이라도 있었냐는 이야기는 웃음도 안 나오더라. 사실 적절하게 맞붙을 수 있는 패널을 구성하지 않은 방송사가 더 문제 아닌가. 전거성 반대편에 전여옥 의원 정도를 붙였으면 모를까.(웃음)
조 지난주는 완전히 여성 수난사의 주간이었다. 전여옥에, 신정아에, 이안까지 말 뒤집고, 거짓말하고, 막말하는 세 명이 마치 서울시스터즈처럼 반짝이 옷 입고 나와서 노래를 하는 것 같더라. 이안의 경우 사실 수위는 가장 낮았는데 두 언니들 때문에 도매금으로 더 뭇매를 맞은 거 같다.
정 이제 와서 잘잘못을 가릴 필요는 없겠지만 아무튼 우리나라 토론 문화의 끝을 본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나쁜 토론이었다. 이안은 이번 사건으로 이미지를 많이 망치긴 했지만 그 덕에 사람들이 전원책 변호사의 발언을 찾아보고 군대 문제에 대해서도 생각해 봤을 테니 그래도 의미 있는 역할을 했다고 본다.
조 그런데 왜 군대 문제만 나오면 꼭 남자 대 여자의 대결로 가는지 모르겠다. 남자를 군대 보내는 사람은 엄마나 여동생 아닌가. 나도 군대 갔다 온 남자지만 꼭 군대 이야기만 나오면 여자들과 싸우려는 일부의 남자들이 참 답답하다.
![]() |
너 어제 그거 봤어?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