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 어제 그거 봤어?
|
[매거진 esc] 너 어제 그거 봤어
돈이 너무 많아서 고민인 공주? 돈이 너무 없어서 고생인 머슴? 전래동화에 나올 것 같은 이 캐릭터가 아직도 회자된다면 그건 ‘돈’ 또는 ‘사랑’의 아이러니 때문일 것이다. 윤은혜의 컴백으로 화제가 된 <아가씨를 부탁해> (한국방송)가 아직은 예상을 뒤집어엎는 신선한 구도에 들어서지 못한 가운데, <10 아시아>(www.10asia.co.kr)의 백은하 편집장(사진 왼쪽)과 최지은 기자가 <아가씨를 부탁해>를 들여다봤다. 설정으로 주장만 할뿐, 캐릭터 밀도 떨어지는 ‘아가씨를 부탁해’
윤은혜 발음 탓하기 전에 허술한 대본, 엉성한 연출부터 점검하길 최지은(이하 최) <아가씨를 부탁해>는 한국방송의 상당한 기대작이었다. <커피프린스 1호점>으로 에이급 스타 반열에 오른 윤은혜의 컴백작이었다. 윤은혜가 갖고 있는 인지도나 스타성에 대한 기대치는 높았지만 막상 이 작품의 정보는 부족했던 것 같다. 제목이 <레이디 캐슬>이었다가 바뀌었는데 기획 기간에 비해서 구체적인 준비 일정이 짧았다. 주인공 강혜나(윤은혜 분)라는 인물은 한국의 패리스 힐튼, <꽃보다 남자>의 구준표 같은 성격을 가진 캐릭터다. 이런 캐릭터가 임팩트를 주려면 무엇보다 비주얼적인 효과가 중요한데 그 효과가 그리 강렬하지 않았다. 저택이나 미남 집사, 고급 차 등의 설정은 있었는데 그걸 보여주는 방식이 새롭지 않았다.
|
〈아가씨를 부탁해〉 한국방송 제공
|
백은하(이하 백) 부자들의 디테일이 빠진 느낌이었다. 강혜나가 아무리 유명 디자이너의 고급 옷을 입고 있어도 절대 럭셔리해 보이지 않았다. 극중 집사인 서동찬(윤상현)과 아가씨 강혜나의 관계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봐야 하는 게 빈부 격차와 계급 격차인데 이런 점이 잘 드러나지 않은 거다. 인권 변호사인 이태윤(정일우), 서동찬, 강혜나, 여의주(문채원)는 성 역할이나 계급 역할이 상하층 계급의 남녀로 딱딱 찢어진 듯 꼭짓점에 서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각각의 차이가 안 느껴졌다. 이것 때문에 드라마의 재미나 긴장감이 덜한 것 같다. 최 근래 한국 드라마에선 재벌이 특히 많이 나온다. <꽃남>에서 <아가씨를 부탁해>로 이어지는 재벌과 서민의 사랑이 약간의 판타지를 두고 계속 등장했다. 그런데 이걸 만드는 제작진이 현실의 빈부 격차에 대해 최소한의 고민을 하고 있나 의심스럽다. 이 인물은 원래 부자니까 부자고, 저 인물은 가난한 집안 출신이니까 그렇다는 것 외에는 별다른 내면적 고민이 보이지 않는다. 백 유일하게 내면적 고민이 보이는 순간이 있었다. 강혜나가 이태윤에게 충격을 받고 나서 술 먹고 엉엉 울며 “내가 부자인 게 죄야!! 돈 많은 게 죄야?”라고 말하는 순간이었다. 죄는 아니고, 사실 너무 부럽지(웃음). 그런데 이 장면으로, 강혜나가 겪고 있는 갈등을 ‘이렇게 보여줬으니까 됐지?’ 하고 넘어간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인물도 이렇게 고민하고 있으니 ‘그렇다 치고’ 넘어가자 하는 방식이랄까. 최 드라마에는 집사를 직업으로 가진 사람이 많이 등장한다. 집사라는 설정에 대해서 비판했던 많은 사람들이 ‘왜색이다, 한국 정서에 맞지 않는다’고 했는데 그게 문제의 핵심은 아닌 것 같다. 빈부 격차를 표현하기 위한 설정으로는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 문제는 아가씨가 “넌 나의 집사니까”라고 계속 반복해서 말하는 것 외에는 집사와 아가씨의 관계가 밀도 있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백 계급과 빈부 차이를 그렸던 드라마 중에선 <발리에서 생긴 일>이 새로운 지점을 남겼던 것 같다. 현대 사회에서 어쩔 수 없이 존재하는 빈부 격차가 남녀 관계의 헤게모니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한 성찰이 담겨 있었다. 사랑이라는 특별한 관계에서는 빈부의 헤게모니를 뛰어넘는, 누가 서로를 더 강렬하게 바라는가에 대한 관계의 헤게모니가 있지 않나. <발리에서 생긴 일>은 그 관계의 헤게모니가 역으로 상충할 때 얼마나 재밌어지는가를 보여줬다. 만약 서동찬이 가난하지만 아가씨의 마음을 얻는다는 식의 역전이 있다면 훨씬 입체감이 있을 것 같다. 지금은 각자의 계급에 맞게 없는 자는 계속 가난하고, 있는 자는 계속 있는 식으로 순탄하게 흘러간다. 최 빈약한 이야기 안에서도 윤상현의 열연은 돋보인다. 노련한 연기가 이 드라마의 가장 좋은 대목인 것 같다. 서동찬이라는 인물은 전직 제비였고 5천만원 빚을 진 뒤, 부잣집 아가씨인 혜나를 꼬셔 보려고 마음먹고 있다. 한데 기본적으로 착한 성품을 갖고 있는 이 인물이 남의 돈을 ‘등쳐먹으려’ 한다는 설정이 잘 이해가 안 간다. 하지만 또 캐릭터와 사건을 분리해서 보면 서동찬이란 인물은 입체감도 있고 어느 정도 이해가 되는 부분이 있다. 교회에서 간증하는 신이나 윤은혜를 바라보는 장면도 좋았다. 이 작품이 잘 안되더라도 윤상현의 커리어에는 큰 타격을 입을 것 같지 않다. 백 윤상현의 연기 자체는 <내조의 여왕>에서 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지금 드라마에선 유난히 자기 페이스를 지키면서 고군분투하는 듯 보인다. 첫 방송 후 윤은혜의 발음 논란이 인터넷상을 달궜다. 단순히 어린 연기자가 연기를 못하고 있다거나 누구 약발 떨어졌다는 식의 문제가 핵심은 아니다. 전적으로 드라마의 기본을 짜는 작가 혹은 연출의 문제다. 드라마는 실패해도 윤상현은 남을 것
|
대한민국 최고 상류층 여성과 전직 제비 출신 집사의 사랑을 그리는 <아가씨를 부탁해>. 한국방송 제공
|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