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선미 동화작가
|
더 이상 숨막히는 자리,
부담스러운 순위 매김이라는
잔인한 서열을 짓지 말았으면
오디션 공화국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만큼 요즘 텔레비전에서는 오디션 프로그램을 심심찮게 본다. 방송사마다 모양은 조금씩 다르나 결국은 경쟁을 부추기는 우열 가리기이고, 시청자를 사로잡기 위한 대규모의 극적 구성으로 보인다. 외국에도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이 있고, 텔레비전이 아니라도 우리는 이미 오래전부터 ‘누가 누가 잘하나’ 같은 문화에 익숙해져 있다. 한 케이블 채널에서 두번째 공개 오디션이 진행중일 때 공영 방송사 피디였던 지인이 무심코 말했다. 무엇으로 어떻게 그런 프로를 만들지 다들 고민이라고.
처음에는 확실히 신선했다. 노래 실력만으로 무대에서 빛나는 젊은이는 외모지상주의에 통쾌하게 한방 먹이는 것 같았고, 참가자들이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은 재능의 가능성과 아름다움을 확인시키기도 했으니까. 수전 보일이나 폴 포츠 못지않은 감동도 있었다. 방송에서 안 보이던 예전 가수를 심사위원으로나마 다시 보는 즐거움도 괜찮고, 아마추어에게 하는 조언을 통해 대중가수로서의 그들 생각을 엿보는 재미도 쏠쏠했다.
그런데 지나치면 모자란 것만 못하다고, 이젠 슬슬 지겨워지기 시작한다. 방송마다 비슷비슷한 진행이라 식상하고, 대중가요 일색이라는 편식에도 물렸고, 무엇보다 오디션에 참가하고자 전국에서 모여드는 인파는 두려움마저 느끼게 했다. 노래 재능을 가진 사람들이 저리 많은가 싶다가도 먹잇감 하나에 꾸역꾸역 몰려드는 형국이라 아우성이 따로 없다는 생각이 든다. 마치 집단 최면에 걸려버린 것처럼 보이니.
|
가수 김경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