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7.13 19:25 수정 : 2011.07.13 19:25

김재홍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

평창 겨울올림픽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 압도적 지지로 결정됐다. 국민의 여망이 이루어졌고 국가적 경사가 피어났으니 누군들 박수 안 치고 배길 수 없다. 두번 연거푸 실패하고 세번째 도전하면서 지극 정성을 다한 결과다. 10년 분투 끝에 성공했다.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말을 다시 새겨둘 만하다. 값진 환희를 얻었고 또 7년 뒤엔 눈 바탕 위의 신나는 활강쇼를 직접 보게 된다. 게다가 경제적 효과가 20조원부터 30조원에 이르기까지 엄청나다고 한다. 적자가 되지 않도록 치밀하게 설계·운영해야 하지만, 일단 한국인의 ‘꿈 이루기’라고 할 만하다.

10년 분투의 종결자는 역시 김연아 선수인 것 같다. 전력투구 끝에 탈진 상태로 귀국한 그에게 아낌없는 박수를 보낸다. 정작 환영 행사에 몸살 때문에 참석하지 못한 김연아는 다시 한번 ‘오마주 투 코리아’(한국에 바치는 선물)의 진정성을 보여주었다. 두달여 전 모스크바 세계피겨스케이팅선수권대회에서 열연한 그가 선택한 이 배경음악은 국내외 동포들로부터 깊은 감성을 자아냈다. <아리랑> 중심의 멋진 선율이었다. 이번에도 그는 남아공 더반에서 전력을 다한 프레젠테이션과 홍보대사 활동으로 그때 못지않은 ‘오마주 투 코리아’를 선사한 셈이다.

그러나 평창 겨울올림픽의 성취·번영·만족… 이 모든 것이 ‘찻잔 속의 태풍’과도 같은 제한된 행복임을 떨쳐버리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포만감은 얻을지 모르지만 우리가 추구하는 궁극적 가치는 저 멀리 떨어져 있다는 느낌이다. 북녘 동포의 소외 때문일 것이다. 김연아의 눈물과 함께 북한 축구대표팀의 기둥인 정대세의 눈물 또한 떠오르기 때문이다. 세계 무대에 나선 남북한 젊은 선수들의 눈물에선 분단된 모국에 대한 한이 묻어난다. 남북의 강경파는 뒤로 제쳐놓고 경제·문화·스포츠 분야에서라도 분단 극복을 이루어내야 한다.

북한 주민들은 한반도 평창에서 겨울올림픽이 열리게 된 사실조차도 아직 듣지 못했다고 한다. 이런 현실이라면 평창 올림픽이 제아무리 잘 치러져 보았자 겨울스포츠가 소외된 지역에 ‘새 지평’을 넓힌다는 국제올림픽위원회와의 약속도 허구나 다름없다.

겨울올림픽 개최 지역을 아시아로 넓힌다는 평창 올림픽유치위원회의 구호는 먼저 북녘 땅에 새 지평을 열어야 실현이 가능하다. 그렇지 않아도 평창 올림픽을 주관해야 할 강원도는 북녘에 상당한 분단 도민을 두고 있지 않은가. 이처럼 평창 올림픽의 남북 분산개최를 해야 하는 이유는 한두가지가 아니다. 남북 공동개최는 개최지 표결 때 포함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이미 물건너갔다. 그러나 개최권을 따낸 우리가 두세개 정도의 경기를 북한에서 치르도록 하는 분산개최는 가능할 것이다. 이런 평화의 대의명분 앞에 국제사회가 지지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처음부터 남북 공동개최 문제는 논외였고 분산개최마저 아직도 꺼내지 않는 것을 나는 이해할 수가 없다.

평창 올림픽은 13개의 경기장에서 치러지며 현재 7개가 건설됐다고 한다. 앞으로 6개 경기장이 더 건설돼야 하고 그 과정에서 생태환경 파괴가 큰 논란거리로 대두할 것이다. 경기장의 집중 배치가 장점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또한 환경의 집중 파괴로 이어진다. 추가 경기장 건설이 확정되기 전에 남북 분산개최를 논의하고 합의해야 한다.

2018 평창 올림픽은 김대중 정부 때 추진해서 노무현 정부를 거쳐 이명박 정부에 와서 따냈다. 그 시행 또한 다음 정부도 아니고 그다음 정부 때 하게 된다. 따라서 그것은 어느 한 정권의 전유물이 아니다. 이명박 정부가 북한에 대해 5·24 조처 등 강경정책을 펴는 것 때문에 평창 올림픽이 가져올 수 있는 한반도 평화와 민족경제의 균형발전이 방해받아서는 안 된다. 이명박 정부는 더 이상 고집부리지 말아야 한다. 역대 보수 정권도 이행한 최소한의 기능주의적 남북 교류협력이라도 복원해야 한다. 그것은 인도주의적 식량 및 의약품 지원을 비롯해서 정치·군사 문제와 별개로 경제·문화·스포츠 분야의 교류를 활성화하는 정책이다.

중앙정부가 미온적이면 ‘분단 자치단체’인 강원도가 나서야 한다. 지난 재보궐선거에서 새로 뽑힌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민주당 소속이다. 민주당의 핵심적인 정책 중 하나가 대북 포용정책 아닌가. 최 지사는 평창 올림픽의 남북 분산개최를 위해 소신을 밝히고 국민운동이라도 벌여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시론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