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17~18일 한국을 찾은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미군부대에 가서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사실상 기정사실화하는 연설을 했다. 케리 장관의 연설은 계산된 행위로서 우리 정부에게 “이제는 더 이상 좌고우면하지 말고 미국의 뜻에 따르라”는 압력으로 비쳤다. 이는 이달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사드 배치를 확정하고 돌아가라는 사전 압력이었다. 케리의 미군부대 발언이 국내에서 논란거리가 되자 미 국무부는 “우리 내부에서 오고 가는 얘기를 편하게 했을 뿐이다”라고 둘러댔다. 그러나 그가 다녀간 뒤 우리 정부의 입장에 미묘한 변화가 일어났다. ‘3 노(No)’(요청 없었고, 협의한 적 없고, 결정된 것 없다)를 주문처럼 외어대던 우리 정부(청와대 대변인)가 “요청이 오면… 주도적으로 판단해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케리의 언행은 역시 계산된 행위였고 효과가 발생한 셈이다. 우리 정부가 ‘3 노’를 사실상 철회한 셈인데 제발 ‘3 예스(Yes)’로 끝나지 않기를 바란다. 미국은 이번 6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그동안 ‘치고 빠지기’ 식으로 살금살금 그려온 용의 그림에 눈동자를 마저 그려 넣고자 할 것이다. 미국의 뜻이 그렇다면 이번에 박근혜 대통령은 확실한 입장을 정립한 뒤 오바마 대통령을 만나야 한다. “미국 대통령이 공식 요청을 했으니 한-미 간에 협의를 시작할 것이다”라는 정도로 대응하고 돌아와서는 안 된다. 분명하게 선을 긋고 돌아와야 한다. 앞으로의 국운이 걸린 문제 앞에서 박 대통령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2002년 1월29일,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은 의회 국정연설에서 이란·이라크·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하고 대북 군사행동까지 할 뜻을 내비쳤다. 그러나 그로부터 20여일 뒤인 2월20일, 서울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이 끝난 뒤 부시 대통령은 ‘도라산역 연설’에서 “북한을 공격하지 않고 북한과 대화를 하겠다”고 입장을 바꿨다. 이런 변화는 김대중 대통령이 ‘젖 먹던 힘까지’ 동원해가면서 100여분 동안 부시 대통령을 설득한 결과였다. 박 대통령도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5000만 국민의 안위와 국익을 위해, 13년 전 김대중 대통령처럼 혼신의 노력으로 사드 배치를 막아주었으면 한다.
|
황재옥 원광대 초빙교수 ·평화협력원 부원장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