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근교에 사는 미리암 텐 카테
|
차별없는 노동 차별없는 사회 2부 대안을 찾아서
③ 차별 없는 세상부터
15살 이상 노동인구 45.5% 시간제…여성은 74%80년대초 경제위기때 도입 “기업·직원 모두 원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근교에 사는 미리암 텐 카테(36·위 사진)는 세 아이를 둔 ‘일하는 엄마’이다. 그는 금융회사인 아이엔지그룹에서 ‘인사관리자’로 일주일에 30시간씩 일한다. 1999년 처음 입사했을 때는 주당 36시간을 일하는 상시근무였다. 하지만 첫딸을 낳은 2001년 시간제근무로 전환했다. 아이를 돌볼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는 일하는 시간도 짧지만, 출퇴근 시간도 자유롭다. 그는 “집에서 틈틈이 업무 전화를 받는 시간도 근무 시간으로 친다”면서 “회사와 30시간을 계약하면서 ‘해내겠다’고 한 업무량을 채우고 약속한 성과를 달성하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덜란드 아이엔지그룹에는 전체 3만명 직원 가운데 21%인 6300여명이 일주일에 36시간 미만의 시간제로 근무한다. 정규직 비중은 94%다. 시간제로 일해도 임금이 시간 비례로 줄어들 뿐, 상여금·휴가·교육 등 각종 복리 혜택은 똑같다. 네덜란드에서는 15살 이상 노동 인구의 45.5%가 시간제(주 36시간 미만)로 일한다. 일하는 여성의 74.2%, 남성의 22.2%에 이르지만, 이 가운데 비자발적인 경우는 6.1%에 불과하다. 운동·건강관리 기업인 케어포트에서 시간제로 일하는 카롤린 슬라크트(46) 매니저는 “예전에는 아내만 시간제로 일하는 게 흔했지만, 요즘은 젊은 남자들도 자유시간을 더 많이 갖거나 교육·창업에 도전하려 시간제를 원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는 시간제 노동이 차별받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뒷받침으로 가능했다. 아이엔지의 홍보 매니저인 데비 브란드는 “전체 직원의 상위 0.2% 안에 드는 톱 매니저들 가운데도 일주일에 3~4일만 일하는 시간제 근무자들이 있다”면서 “차별은 금지돼 있고, 능력있는 인력을 쓰려면 시간제를 마다해선 안 된다”고 설명했다.
|
프랑스 파리와 영국 런던을 오가는 초고속 열차 ‘유로스타’의 승무원들이 밝은 표정으로 지난달 하순 파리북역의 승강장을 나서고 있다. 모두 용역업체 소속이지만, 용역업체가 바뀌더라도 고용 승계가 보장되는 이들에게 ‘고용불안’을 느끼기는 어렵다. 파리/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
|
주요 국가들의 노동시장 시간제 비중
|
프랑스 철도 승무원들 “고용불안 몰라요” 민주노동동맹 철도식당·유로스타 지부 대표 인터뷰
|
프랑스 최대 노조인 민주노동동맹(CDFT)의 철도식당지부 대표 질다 르 구벨로(왼쪽)와 유로스타지부 대표 스테판 롤랑(오른쪽)
|
“정규직 보호 줄이고 사회안정망 늘려라” ILO·IMF·세계은행 전문가들 ‘한국 노동시장 유연화’ 제언 한국은 노동유연화와 사회통합이 ‘균형’있게 자리잡고 있을까? 국제노동기구(ILO), 국제통화기금(IMF) 등의 노동분야 국제전문가들은 “정규직 보호를 줄이는 대신 비정규직에 대한 사회안전망 혜택을 늘려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최근 한국노동연구원 주최로 열린 ‘21세기 고용정책을 위한 비전과 전략’ 국제세미나에 참석한 ILO 국제노동연구소 레이먼드 토레스 소장은 “비정규직법 시행에도 정규직이 점점 줄어드는 것은 기업들이 퇴직금을 줘야하는 정규직 채용을 꺼리기 탓”이라며 “공공퇴직연금을 전면도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퇴직금을 없애고 정규직·비정규직 할 것 없이 임금의 1.25%를 개인계정에 저축하도록 한 오스트리아를 “혁명적인” 사례로 꼽았다. 그는 또 “고용보험 혜택을 못 받는 근로자들이 많은데, 정부가 감시감독을 강화하고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처럼 통합적인 사회안전망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IMF 메랄 카라술루 주한대표는 ‘일자리’가 아닌 ‘노동자의 삶’을 보호하려면, 노동시장을 유연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규직 보호수준이 낮을수록 (채용에 대한 부담이 적어져) 정규직 비중이 높아진다”며 미국·영국·아일랜드 등을 사례로 들었다. 그렇지만 카라술루 대표도 정규직 해고 규제를 완화하는 대신 그에 따른 ‘빈자리’를 사회보험 강화로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현재 한국 비정규직 중 국민연금·건강보험 혜택을 받는 비율은 50%에도 못 미친다”며 “정규직 해고 과정을 간소화하고, 대신 사회보험을 확대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계은행 ‘사회보장과 노동’ 부서의 선임경제학자 밀란 보도피벡도 “나 역시 지금의 고용보험제도가 정규직을 과다보호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며 “노동시간이 단축되고 있는데도 기업들이 고용확대를 하지 않는 원인을 살펴보는 것과 함께, 실업수당강화 등 적극적인 노동시장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안남기 응용경제연구소 연구위원/스페인 박명준 전 막스플랑크 사회연구소 연구원/독일 정희정 틸뷔르흐대학 노동연구소 연구원/네덜란드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