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18 20:45 수정 : 2008.03.18 20:45

자연공원에 설치된 케이블카 대부분 ‘적자’

지자체 10여곳 설치 민원 계속


자연공원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려는 지자체는 강원 양양, 경남 산청, 전남 구례, 울산 울주 등 전국 10여곳에 이른다.

지자체들은 지역의 관광개발을 위해 케이블카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환경파괴 우려가 커 대부분 몇년째 해묵은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2001년부터 설악산의 오색~대청봉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하고 있는 강원도 양양 지역 도·군의원들은 지난 12일 “케이블카 설치에 도가 나서달라”는 건의문을 도지사에게 전달했다.

박준영 전남지사는 지난 6일 지리산, 월출산, 무등산 등 명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해 노약자와 관광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자고 나서 논란을 빚기도 했다. 지리산에는 구례군이 1990년 온천랜드를 조성할 때부터, 영암군은 2004년 월출산에, 광주시는 무등산에 각각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해 왔으나 문화재보호구역에 인접해 있거나 환경파괴의 가능성 때문에 무산돼 왔다.

케이블카 설치는 시설 그 자체의 영향보다는 종착지가 새로운 개발의 거점이 된다는 점에서 환경당국도 쉽사리 허가를 내주지 못하고 있다.

또 형평성 때문에 어느 한 지자체에 선뜻 설치를 허용하기도 힘들다. 지리산에는 5개 지자체가 케이블카 설치를 원하고 있다.

케이블카 난립을 막으려고 환경부는 2004년 ‘자연공원 내 삭도 설치 지침’을 통해 “엄격히 제한된 범위에서만 허용”하기로 했다.

현재 케이블카는 설악산, 내장산, 대둔산, 팔공산, 금오산, 두륜산 등 6곳에 설치돼 있으나 대부분 운영은 적자 상태이다.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조홍섭의 물, 바람, 숲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