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04.16 19:02
수정 : 2008.05.02 15:23
|
꿩의바람꽃(왼쪽)과 복수초(오른쪽).
|
[환경 현장]식물 ‘준 분류학자’ 양성현장 가보니
제비꽃만해도 민둥메 둥근털 알록 고깔 등 갖가지
이론 학습과 함께 태백산, 주흘산, 방태산 등 답사
“산에 가서 봄꽃 150종은 완벽하게 알아야 합니다. 천마산에서만 55종을 가릴 줄 알아야죠.”
지난 12일 경기도 남양주시 천마산 들머리에 모인 ‘식물 준 분류학자 워크숍’ 참가자들은 현진오 동북아식물연구소장의 말에 아연 긴장했다.
산에 나는 것은 산수유가 아니라 생강나무이고, 진달래와 달리 철쭉은 꽃보다 잎이 먼저 난다는 것쯤은 다들 아는 눈치였다.
“천마산에 많은 꿩의바람꽃이나 만주바람꽃에서 꽃잎으로 보이는 것은 사실 꽃받침입니다. 꿩의바람꽃에는 아예 꽃잎이 없죠.” 식물의 특징에 관한 설명이 시작되자 분위기가 달라졌다.
제비꽃만 해도 민둥메제비꽃, 노랑제비꽃, 둥근털제비꽃, 알록제비꽃, 잔털제비꽃, 고깔제비꽃 등 구분하기 힘든 것들이 잇따라 나타나자 참가자들의 표정은 차츰 심각해졌다.
“꽃만 봐서는 안 되고 잎을 보고도 복수초를 알아야 합니다.” ‘잔소리’가 이어졌다. “낙엽 속에 숨어있는 꽃을 보는 눈을 길러야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