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능혜 스님은 향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자신의 몸을 임상으로 사용한다.
|
[향기 나는 사람들] 향기 퍼뜨리는 능혜 스님(중)
토굴수행하다 일제 때 효봉 스님 '비방' 들어
한약책 독파 약재 효능 섭렵…3년만에 '득향'
1985년 안동 봉정사 부근 토굴에서 지낼 때였습니다. 스님들은 여름과 겨울 수행기간인 '결재' 때 함께 지내며 서로 알고 있는 지식을 주고받습니다. 무소유를 지향하는 분들이니 좋은 지식을 나누는 게 당연하겠지요.
그때 한 스님이 능혜 스님에게 향 만드는 방법, 향방을 전해줬습니다. 그 방법은 일제 시대 때 잘못된 사형 판결을 내린 것을 안 뒤 사형 당한 분의 명복을 빌고자 스님이 된 효봉 큰스님으로부터 내려온 것이었습니다. 스님은 얼마나 기뻤는지 모른다고 했습니다. 그때부터 능혜 스님에게 향방이 화두가 됐습니다. 향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향 재료를 알아보기 위해 한의학 서적도 뒤졌습니다. <방약합편>,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 한의학 책을 탐독하며 백단, 침향, 자단향, 계피, 안식향 등 향과 관련된 약재의 효능을 익혔습니다.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효능이 무엇인지를 생각했습니다. 공기가 좋지 않으니 폐기능 강화에 도움이 되고, 전자파에 자주 노출이 되니 그것을 차단할 수 있고, 또 화를 많이 내는 이들이 많으니 머리로 치솟는 열기를 내려주는 효능을 가진 약재를 찾아 조합했습니다."
향 만드는 일은 쉽지 않았습니다. 가장 힘든 때는 90년 초쯤 경북 문경의 한 절에 머물며 향을 연구할 때였습니다. 6가지 재료를 섞어 향을 만들었는데 향내가 너무 강했습니다. 머리를 맑게 해주지도 못했습니다. 그때 거금 400만원을 들여 사온 재료를 다 내다버려야 했습니다. 잠이 오지 않았습니다. 사흘 정도 참선을 하듯, 잠을 자지 않고 향을 만든 과정을 꼼꼼하게 되짚어 봤습니다. 문제는 재료였습니다. 알고 보니 구입한 재료 가운데 가짜가 있었습니다. 그 뒤 한약재를 살 때는 늘 속지 않도록 조심했습니다. 그런 과정을 겪어 능혜 스님은 약재상 수준의 안목을 지니게 됐다고 합니다.
|
속이 빈 탑향에 불을 붙여 물적신 바위위에 올려놓았더니 무거운 연기가 바위의 골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이 마치 폭포수같은 느낌을 준다. 능혜 스님이 탑향을 만들다 우연히 발견한 현상이라고 한다.
|
취운향당 (054)933-6371~2. www.cwh.co.kr 경북 성주/글·사진 권복기 기자 bokkie@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