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여성신학운동의 선구자인 이우정 선생은 1976년 ‘3·1 민주구국 선언문’을 낭독해 연행되면서 나이 쉰 줄에 투사로 변신했다. 75년 기독교장로회 여신도회 전국연합회 총회에 참석했을 때의 모습이다.
|
문동환-떠돌이 목자의 노래 7-1
“장준하 형, 자네가 있었더라면 세상이 이렇게 어둡지 않았을 텐데….” 1976년 2월의 어느 날, 형 문익환은 책상 위에 놓인 장준하의 영정을 들여다보며 혼잣말로 중얼거렸다. 의문에 싸인 그의 죽음은 그대로 땅속에 묻혀 버린 것 같았다. 형은 신·구교가 공동으로 구성한 성서번역 위원장을 맡느라 민주화 운동에는 직접 나서지 않고 있었다. 그의 사진을 보며 어린 시절의 친구 윤동주도 자주 떠올렸다. “동주야 네가 살아 있었더라면 가만히 있지는 않았을 텐데….”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자신이 답답하고 부끄러웠다. 그 순간 사진 속의 장준하가 “자네는? 자네는 왜 못해?”라고 말을 했다. 형은 화들짝 놀랐다. 그러고는 다가오는 3월1일에는 뭔가 일을 벌여야겠다고 결심을 하고 펜을 들어 ‘민주구국선언문’의 초안을 쓰기 시작했다. 70년대 가장 큰 파문을 일으킨 최대 재야운동 사건은 그렇게 촉발됐다. 형은 그렇게 작성한 초안을 들고 나에게 찾아와 보여주었다. 나는 몇 가지 제안을 한 뒤 경제에 관한 것은 이문영 교수에게 의논을 하라고 했다. 이심전심이었는지, 미리 의논을 하지도 않았는데 그즈음 신민당 대통령 후보였던 김대중씨 역시 3·1절을 맞아 뭔가를 해야겠다고 생각하면서 김수환 추기경을 만나고 있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그래서 형은 김대중씨와 함께 선언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당시 가택연금 상태로 삼엄한 경계 속에 지내던 김대중씨와는 나의 제자이자 나중에 새벽의 집에 들어와서 함께 살게 된 김성재(한신대 교수·전 문화관광부 장관)가 연락책을 맡았다. 암호는 ‘한복’이었다. “한복이 다 됐다”는 전화를 받으면 김성재는 김대중씨의 처제인 ‘목동 이모’(이희호씨의 동생) 집으로 가서 선언서 초안을 받아서 안국동 윤보선 전 대통령 집으로 가지고 왔다. 익환 형은 좀더 명확하게 쓰자고 했고, 김 선생이 보기에 우리의 초안은 너무 강경하다고 해서 서너 번에 걸쳐서 의견 조정을 했다. 나는 70년대 초반부터 함세웅, 김승훈, 신현봉, 문정현 신부들과 가까이 지내면서 유신 정권에 신·구교가 함께 맞서자고 의기투합하고 있던 차였다. 그러나 신부들은 주교의 승낙이 없이는 성명서에 서명을 할 수 없다며 명동성당에서 기도회를 할 수 있도록 주선해 주었다. 봉원동의 정일형 박사와 이태영 변호사 부부도 서명을 했다. 시간이 촉박했기에 갈릴리교회의 동지들에게는 뒤늦게 알렸다. 그러나 정작 이 일의 주동자였던 형의 이름은 성명서에서 빼고, 모두들 사실을 밝히지 않기로 입을 맞췄다. 성서 번역의 마지막 원고 정리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민주구국선언문에 서명한 이는 함석헌, 윤보선, 김대중, 정일형, 이태영, 이우정, 서남동, 안병무, 이문영, 윤반웅, 문동환 등이었다.
|
문동환 목사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