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5.11 21:10 수정 : 2006.05.12 09:44

유레카

관심이 쏠린 서울시장 선거에서 오세훈 한나라당 후보가 강금실 열린우리당 후보를 크게 앞서고 있다. 두 후보가 출마를 공식화하기 전에는 엇비슷했던 지지율이 불과 한 달 남짓 만에 오 후보의 독주로 변했다. 그 배경으로는 여러 요인을 들 수 있지만 ‘밴드왜건 효과’로도 설명이 가능하다. 축제 행사 때 악대(밴드)를 태운 마차(왜건) 뒤를 따라 사람들이 몰려가는 것같이 유권자들이 승산이 있는 후보 쪽으로 쏠리는 것이다.

언론사들의 지지율 조사 보도가 밴드왜건 효과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다. 2002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의 첫 격전지였던 광주 경선에서 노무현 후보가 예상을 뒤엎고 1등을 차지한 전기는 그가 처음으로 이회창 후보를 이기는 것으로 나타난 한 언론사의 여론조사 보도였다.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도 오 후보가 강 후보에 앞서는 여론조사 결과가 보도된 뒤 그의 지지도는 급상승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선거 무관심층과 저소득층에서 오 후보에 대한 밴드왜건 효과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효과가 오래 지속되는 것은 아니다. 후보의 진면모가 드러나면서 지지율은 크게 변화한다. 2002년 대선 때도 경선 때 돌풍을 일으켰던 노무현 후보는 김영삼 전 대통령 방문을 계기로 그의 지지율은 곤두박질쳤다.

한 후보가 독주할 경우 열세후보에 대한 동정론이 일어나 격차가 좁혀지는 경우도 있다. 정치학자들은 이를 패자(언더도그) 효과라고 부른다. 후보가 속한 정당의 전통적인 지지계층이 일시적으로 이탈했을 경우 그 효과를 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때 이탈한 지지층이 돌아올 수 있는 명분이 필요하다.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 강행과 평택 대추리 유혈진압 등 열린우리당 지지층의 정서에 배치되는 일련의 흐름은 강금실 후보에 대한 언더도그 효과를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장정수 논설위원 jsjang@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유레카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