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1.11 16:50 수정 : 2007.01.11 16:50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유레카

노무현 대통령이 하노이 아펙정상회의 중 열린 한-일 정상회담 자리에서 ‘동해’의 명칭을 거론해 이 문제가 또다시 도마에 올랐다. 동네 이름도 그럴진대 땅이나 바다 이름은 쉽사리 바뀔 수 있는 게 아니다. 나라 사이 이해관계나 역사적인 감정까지 얽혔을 때에는 더 말할 것도 없다. 노 대통령이 거론한 ‘평화의 바다’나 학계에서 제시한 ‘청해’ ‘우정의 바다’ 등이 합리성은 있을지언정 선뜻 ‘동해’의 대안으로 삼자고 하기 어려운 이유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한반도를 중심으로 방위를 따라 ‘동해·서해·남해’라고 지은 이름이 이웃나라와 인접해 있고 국제화된 세계에서 얼마나 설득력이 있겠냐는 지적은 일리가 있다. 한국의 서해는 중국의 동해이고, 한국의 동해는 일본의 서해니까. 물론 동해엔 한국의 동쪽보다는 가장 동쪽에 있는 바다란 뜻이 들어있다.

우리 정부도 1992년 유엔에 ‘동해’로 쓰자고 했다가 97년엔 ‘동해’를 ‘일본해’와 병기하자고 주장을 바꿨다. 바다 이름을 정하는 국제수로기구의 원칙에 따른 것이다. 이 기구는 지명분쟁이 발생할 때 관련국이 협의를 하도록 하고, 합의를 얻지 못하면 관련국들이 사용하는 명칭을 모두 쓸 것을 권고하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좁은 바다를 ‘영국해협/라망슈’로 병기하는 건 그런 사례다.

동해만이 문제는 아니다. 중국 칭다오에 있는 한-중 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의 정회수 소장은 얼마 전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중국 학자들이 동해보다는 일본해로 부르는 경향이 있어 알아보니 “우리가 황해를 서해로 부르는 데 대해 심사가 꼬인 측면이 엿보였다”고 했다. 여기서 그는 국제적 지명표준에 따라 ‘서해’는 ‘황해’로 남해는 ‘북쪽 동중국해’로 쓰자고 제안했다. 남해를 그렇게까지 불러야 할지는 의문이지만, ‘황해’ 정도는 한번 생각해 볼 여지가 있겠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유레카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