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7.03.05 17:30 수정 : 2007.03.05 17:30

한승동 선임기자

유레카

“각지의 위안소 개설은 당시 군 당국의 요청을 따른 것인데, 당시 정부 부내 자료를 보면 … 일본군인이 주민을 강간하는 등의 불법행위를 하고, 그 결과 반일감정이 조성되는 것 …, 성병 등 병으로 인한 병력 저하를 막고 …, 방첩상의 필요 … 등이 위안소 설치 이유로 돼 있다.”

“위안부 모집은, 군 당국의 요청을 받은 경영자의 의뢰에 따라 알선업자들이 하는 경우가 많았다. … 업자들이 혹은 감언이설을 농하고, 혹은 겁을 주는 등의 형태로 본인들의 뜻에 반해 모집하는 케이스가 많았으며, 또한 관헌 등이 직접 그 일에 가담하는 등의 케이스도 있었다.”

1993년 8월4일 일본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 관방장관 고노 요헤이가 발표한 ‘위안부 관계 조사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 관방장관 담화’(고노 담화)의 토대가 된 내각관방 조사 보고서 ‘이른바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하여’의 일부다. 지난 1일 “강제성을 뒷받침하는 증거가 없었던 것은 사실 아닌가”라며 아베 신조 총리가 부정한 게 이 담화다. 그의 머리엔 원래 위안부가 없었다. 2005년 자민당 간사장대리 시절 그는 “종군위안부는 요시다 세이지가 지어낸 허구”라고 주장했다. 하타 이쿠히코 같은 우익 역사가가 여기에 기여했다. 요시다는 위안부 동원에 직접 관여했던 일본 육군 출신 문필가로,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1977), <나의 전쟁범죄>(11983) 등의 책을 써서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증언했다.

하지만 고노 담화가 나온 건 요시다 때문이 아니라 당사자였던 김학순 할머니의 1991년 증언이 몰고온 충격파, 일본에 제대로 대처하도록 정부를 압박한 한국의 민주화 덕분이다. 지금 한국에선 민주화 기세가 꺾이고, 93년 미야자와 정권과 함께 자민당 장기집권 체제가 무너지는 위기 속에서 본격화한 일본 자민당 주류들의 우익 민족주의 기세는 날로 거세다.

한승동 선임기자 sdha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유레카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