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7.11.14 18:04
수정 : 2007.11.14 18:04
|
정남기 논설위원
|
유레카
1929년 대공황이 일어나기 전 미국 경제는 최고 호황을 누렸다. 주가는 고공행진을 계속했고, 투자자들은 돈을 빌려 미친듯이 주식을 샀다. “세계경제가 엄청난 상승기에 접어들었다”는 경제학자들의 분석이 쏟아졌다. 1929년 9월 하락세로 돌아선 증시는 10월24일 대폭락했다. 그럼에도 허버트 후버 대통령은 “생산과 유통이 안정과 번영을 구가하고 있다”고 위기를 부인했다. 닷새 뒤인 10월29일 악몽의 화요일이 찾아왔다. 주식 시가총액이 하룻만에 870억달러에서 550억달러로 3분의 1 이상 사라졌다. 신용불량자가 속출했고, 소비가 위축되면서 기업이 무너졌다. 주가가 최저치를 기록한 32년 7월 다우지수는 29년 9월의 381.17에서 41.22로 떨어졌다.
산업생산 수준도 20년 전으로 돌아갔다. 160만명이었던 실업자는 1210만명으로 불어났다. 그러나 정부는 미국 경제가 전반적으로 탄탄하다는 착각에 젖어있었다. 대공황의 원인도 심리적인 이유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뉴딜 정책으로도 대공황을 극복하지는 못했다. 결국 제2차 세계대전이 미국 경제를 살렸다.
오는 21일이면 우리가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한 지 10년이 된다. 당시도 마찬가지였다. 정부는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이 튼튼하니 걱정할 것 없다는 얘기를 반복하다가 위기를 맞았다. 한쪽에선 투기자본이 금융시장을 흔든다고 외부로 탓을 돌렸다. 지금은 경제의 체력이 강해졌다. 하지만 미국과 중국에 의존도는 여전히 높다.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와 중국 인플레이션 조짐으로 세계경제의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높다. 최근에는 홍콩상하이은행(HSBC) 전문가가 한국의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경고했다. 위기 대응을 위한 우리만의 방어막은 없는 것일까?
정남기 논설위원
jnamki@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