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3.05 22:20 수정 : 2009.03.05 22:20

권태선 논설위원

유레카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오바마 정부의 대외정책 기조가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를 결합한 스마트파워 추구임을 분명히했다. 조지프 나이와 리처드 아미티지 등이 주도한 스마트파워위원회가 내놓은 스마트파워란 개념은 부시 정권의 대외정책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했다. 전세계 군사비 지출의 45%를 국방예산으로 쓰고, 세계 500대 기업의 3분의 1이 미국 기업일 정도로 여전히 막강한 경제력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부시의 미국은 국제적으로 존경받기는커녕 경원의 대상이 됐다. 나이 등은 부시 정권이 그동안 미국 대외정책의 강력한 한 축이었던 소프트파워를 무시한 채 하드파워에만 지나치게 의존한 탓이라고 보았다.

나이는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나 나라를 자기편으로 끌어당기는 능력인 소프트파워는 정당성에서 나온다고 설명했다. 부시의 미국이 그들이 갖고 있는 하드파워에 훨씬 못 미치는 영향력밖에 가질 수 없었던 것은 그 대외정책에 대한 정당성을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나이의 견해를 수용한 미국 새 행정부는 대외원조 예산 두 배 증액을 다짐하는 등 소프트파워 강화를 위한 다각도의 노력을 시작했다.

흥미로운 점은 소프트파워의 전개를 돕는 일이 부시의 하드파워 전략의 최대 수혜자였던 미국 거대 군수산업체들의 새로운 일감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위성과 군용기를 생산하는 록히드 마틴과 노스럽은 국무부로부터 아프리카에서 평화유지군을 훈련시키는 업무를 따냈다. 장갑차 제조업체인 비에이이(BAE)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군의 현지 적응을 돕기 위해 인류학자들을 공급하는 일을 맡고 있다. 군수업체들도 단순히 하드파워의 생산자로 머물지 않고 새 정부의 철학에 맞춰 소프트파워를 개발·행사하는 일을 만들어 내면서 스스로 하드파워와 소프트파워를 통합한 스마트파워의 길을 개척해 가고 있는 것이다.

권태선 논설위원 kwonts@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유레카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