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4.07 22:38 수정 : 2009.04.07 22:38

정남기 논설위원

유레카

성인 한 사람이 1년 동안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열량은 대략 100만㎉다. 그럼 이만한 식량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땅은? 쌀이 0.07㏊, 밀이 0.13㏊, 고구마는 0.04㏊다. 효율만 따지자면 고구마만 한 식량이 없다. 동물로 넘어가면 사정이 확 달라진다. 100만㎉를 얻으려면 닭고기는 3.7㏊, 쇠고기는 6.8㏊의 땅이 필요하다. 쇠고기가 고구마의 무려 170배다. 가축을 키우는 데 그만큼 많은 사료가 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00g의 곡물을 사료로 먹여야 겨우 4.6g의 쇠고기를 얻을 수 있다. 사료의 단백질 전환율이 4.6%에 불과하다. 돼지고기는 12.5%, 닭고기는 17.7%, 우유는 22.9%다. 거꾸로 계산해보면 쇠고기 500g을 먹는 것은 무려 10.87㎏의 사료를 소비하는 것과 같다.

그동안 꾸준한 녹색혁명으로 곡식 생산량이 급증했음에도 다시 식량 부족론이 나오는 게 이 때문이다. 소득이 높아진 중국, 인도 국민들이 본격적으로 고기 소비량을 늘리게 되면 막대한 곡물 수요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이 구조적인 식량부족을 전망하는 이유다.

우리나라의 곡물자급률은 1960년 94.5%에서 1980년 56%, 2007년 27.2%까지 떨어졌다. 일본의 28%(2004년)와 비슷한 수준이고, 사막의 나라인 사우디아라비아의 23.5%(2005년)와 비교해도 그리 높지 않다. 우리와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중인 유럽연합(EU)의 독일과 프랑스는 이미 100%를 넘어선 지 오래다. 중요한 것은 미국, 아르헨티나 등 곡물 수출국 대부분이 유전자조작농산물(GMO)을 팔고 있다는 점이다. 돈을 싸들고 다녀도 유전자조작농산물밖에 찾을 수 없는 시대가 오는 셈이다.

한-유럽연합 자유무역협정이 타결 바로 전 단계에 와 있다. 과연 우리의 농업을 지킬 대책은 갖고 협상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정남기 논설위원 jnamki@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유레카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