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9.04.29 21:58
수정 : 2009.04.29 21:58
|
오태규 논설위원
|
유레카
버락 오바마 미국 정부의 등장과 함께 ‘그린 뉴딜’이라는 말이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 하면 뉴딜이란 단어가 자연스럽게 떠오르듯이, 오바마 대통령 하면 그린 뉴딜이란 말이 연상될 정도가 됐다. 하지만 정작 오바마 대통령은 이제까지 그린 뉴딜이라는 용어를 공개적으로 쓴 적이 없다. 언론이 환경과 에너지 전략을 통해 미국의 재생을 꾀하겠다는 오바마의 정책을 두고 환경을 상징하는 ‘그린’과, 1929년 대공황 이후 루스벨트 대통령이 펼쳤던 ‘뉴딜’ 정책을 조합해 쓰기 시작하면서 오바마의 ‘대표 용어’로 자리 잡은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취임연설에서 “태양, 풍력, 대지가 베푸는 에너지로 차를 달리게 하고 공장을 가동시킬 것이다”라며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하는 그린 뉴딜 구상을 밝혔다. 이어 1월24일 인터넷 연설에선 “풍력, 태양광, 바이오연료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 생산을 3년 안에 두 배로 늘리고, 4800㎞의 송전망을 신설하겠다”며 공공사업을 통한 기후변동 대책을 내놨다. 이와 함께 앞으로 재생에너지 분야에 10년간 1500억달러를 투입해 500만명의 그린 노동자를 창출하겠다는 야심찬 계획도 제시했다. 이렇듯 오바마의 그린 뉴딜은 석유와 자동차로 대표되는 20세기를 끝내고 재생에너지와 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세기를 열겠다는 선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명박 정부도 녹색 산업, 녹색 뉴딜, 녹색 에너지 등 녹색이 접두어로 붙는 말을 부쩍 많이 쓰고 있다. 심지어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가적 과제로 추진하는 대통령 직속의 녹색성장위원회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 27일 대표적인 녹색 뉴딜 사업으로 제시한 4대 강 살리기 사업이 보여주듯, 이명박 정부의 녹색 뉴딜은 시멘트와 삽질이 난무하는 ‘회색 뉴딜’의 녹색 포장 성격이 강하다.
오태규 논설위원
ohtak@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