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10.25 18:48 수정 : 2009.10.25 18:48

신기섭 논설위원

요즘은 소통이 안 되고, 그에 따라 신뢰가 땅으로 떨어졌다는 인식이 퍼져 있다. 양극화와 이념적 분열도 신뢰보다는 불신을 키우는 요인들이라 할 수 있다.

‘남이 호의적으로 반응하기를 미리 기대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는 신뢰는 크게 타인 일반에 대한 신뢰와 사회제도·기관에 대한 신뢰로 나눌 수 있다. 김재한 교수의 책 <동서양의 신뢰>를 보면 타인 일반에 대한 신뢰 수준을 국제적으로 비교할 때 한국은 중간 정도다. 1982년대부터 2001년까지의 ‘세계가치관조사’를 김 교수가 자체 분석한 결과다. 남에 대한 신뢰가 가장 높은 나라들로는 노르웨이, 덴마크, 버뮤다, 스웨덴, 싱가포르, 중국, 핀란드가 꼽힌다.

그런데 한국의 신뢰 수준이 낮아지고 있다는 증거는 그리 뚜렷하지 않다고 한다. 세계가치관조사 결과로 보면, 남을 믿는다는 비율은 1982년 응답자의 36.0%에서 2001년 27.3%로 떨어졌다. 반면 신문과 방송의 불신에 관한 보도는 점차 줄고 있다. 1990년 10개 일간지 기사 가운데 불신에 관한 것이 전체의 1.82%였으나 2003년에는 0.95%로 떨어졌다. 언론이 주로 다루는 신뢰/불신 문제는 정치권이나 각종 기관과 관련된 것인데, 요즘 한국인이 가장 신뢰하는 기관은 시민·사회단체, 중소기업, 교육기관 등이다. 대기업, 정당, 국회는 신뢰가 가장 떨어진다.

기관에 대한 신뢰에는 일정한 경향도 나타난다.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국회, 정당, 재벌, 검찰, 경찰을 덜 믿고,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기관, 군대, 종교단체, 경찰, 재벌을 더 믿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한다. 김 교수는 “정부기관 가운데 국민의 선거를 통한 선출직 기관이 더 높은 불신을 받는다는 것은 매우 역설적인 현상”이라고 지적한다. 선거 제도의 전면적인 개혁이 필요하다는 소리로 들린다.

신기섭 논설위원 marishi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유레카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